ebsi 고등 2024 수능특강 영어 4강 1번 문제 및 변형입니다.
4강 1번.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key assumption in consumer societies has been the idea that "money buys happiness."
Historically, there is a good reason for this assumption — until the last few generations, a majority of people have lived close to subsistence, so an increase in income brought genuine increases in material well-being (e.g., food, shelter, health care) and this has produced more happiness.
However, in a number of developed nations, levels of material well-being have moved beyond subsistence to unprecedented abundance.
Developed nations have had several generations of unparalleled material prosperity, and a clear understanding is emerging: More money does bring more happiness when we are living on a very low income.
However, as a global average, when per capita income reaches the range of $13,000 per year, additional income adds relatively little to our happiness, while other factors such as personal freedom, meaningful work, and social tolerance add much more.
Often, a doubling or tripling of income in developed nations has not led to an increase in perceived well-being.
* subsistence: 최저 생계
① 국가의 경제적 풍요와 국민 각자의 행복은 별개의 문제이다.
②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 것이 행복의 출발점이다.
③ 일정 소득을 넘으면 소득과 행복의 증가는 비례하지 않는다.
④ 심화하는 소득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대응이 필요하다.
⑤ 물질적 행복과 정신적 행복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제]
소득 증가와 행복의 상관관계
[해석]
소비 사회의 핵심 가정은 '돈으로 행복을 얻는다'는 생각이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가정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즉, 지난 몇 세대 전까지 대다수 사람이 최저 생계에 가깝게 살아왔기 때문에, 소득 증가는 물질적 복지(예를 들어, 음식, 주거, 의료)의 진정한 향상을 가져왔으며, 이는 더 많은 행복을 낳았다.
그러나 많은 선진국에서 물질적 복지의 수준이 최저 생계를 넘어 전례 없는 풍요로 옮겨갔다.
선진국은 여러 세대에 걸쳐 비할 데 없는 물질적 번영을 누려 왔고, 명확한 이해가 부상하고 있는데, 우리가 매우 낮은 수입으로 생활할 때는 더 많은 돈이 더 많은 행복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세계 평균으로서, 1인당 소득이 연간 13,000달러 범위에 이르면, 추가 소득이 우리의 행복을 상대적으로 거의 늘리지 않지만, 개인의 자유, 의미 있는 일, 그리고 사회적 관용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훨씬 더 많이 보탬이 된다.
흔히 선진국에서는 소득이 두 배 또는 세 배로 증가해도 체감되는 행복의 증대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정답] ③
A key assumption in consumer societies (be) has been the idea that "money buys happiness."
소비 사회의 핵심 가정은 '돈으로 행복을 얻는다'는 생각이었다.
Historically, there is a good reason for this assumption — until the last few generations, a majority of people (live) have lived close to subsistence, so an increase in income brought genuine increases in material well-being (e.g., food, shelter, health care) and this (produce) has produced more happiness.
역사적으로, 이러한 가정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즉, 지난 몇 세대 전까지 대다수 사람이 최저 생계에 가깝게 살아왔기 때문에, 소득 증가는 물질적 복지(예를 들어, 음식, 주거, 의료)의 진정한 향상을 가져왔으며, 이는 더 많은 행복을 낳았다.
[Also/ However], in a number of [developing/developed] nations, [서술형 대비] levels of material well-being have moved beyond subsistence to unprecedented abundance.
그러나 많은 선진국에서 물질적 복지의 수준이 최저 생계를 넘어 전례 없는 풍요로 옮겨갔다.
Developed nations (have) have had several generations of unparalleled=비할 데 없는 material prosperity, and a clear understanding is [emerging/emerged]: [서술형 대비] More money does bring more happiness when we are living on a very low income.
선진국은 여러 세대에 걸쳐 비할 데 없는 물질적 번영을 누려 왔고, 명확한 이해가 부상하고 있는데, 우리가 매우 낮은 수입으로 생활할 때는 더 많은 돈이 더 많은 행복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However, as a global average, when per capita income reaches the range of $13,000 per year, additional income adds relatively [a little/ little] to our happiness, while other factors such as personal freedom, meaningful work, and social tolerance add much more.
그러나 세계 평균으로서, 1인당 소득이 연간 13,000달러 범위에 이르면, 추가 소득이 우리의 행복을 상대적으로 거의 늘리지 않지만, 개인의 자유, 의미 있는 일, 그리고 사회적 관용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훨씬 더 많이 보탬이 된다.
Often, a doubling or tripling of income in developed nations [have/has] not led to an increase in (perceive) perceived well-being.
흔히 선진국에서는 소득이 두 배 또는 세 배로 증가해도 체감되는 행복의 증대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 subsistence: 최저 생계
지난 몇 세대 전까지는 대부분의 사람이 거의 최저 생계에 가깝게 살았기 때문에 소득의 증가가 물질적 복지의 향상으로 이어져 더 많은 행복을 가져왔지만, 세계 평균으로 1인당 국민 소득이 연간 13,000달러에 도달하면 추가 소득이 체감되는 행복의 증대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부교재 아카이브 > ebsi 고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i 고등 2024 수능특강 영어 4강 3번 문제 및 변형 (1) | 2023.12.19 |
---|---|
ebsi 고등 2024 수능특강 영어 4강 2번 문제 및 변형 (0) | 2023.12.19 |
[당신이 찾는 자료] ebsi 고등 2024 수능특강 영어 4강 Gateway 문제 및 변형 (0) | 2023.12.18 |
[당신이 찾는 자료] ebsi 고등 2024 수능특강 영어 3강 4번 문제 및 변형 (0) | 2023.12.17 |
ebsi 고등 2024 수능특강 영어 3강 3번 문제 및 변형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