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수능특강 영어 21강 3번, 22강 1번 분석 및 해석입니다.
3번.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Saltwater constitutes 97% of Earth’s water, and of the 3% that is fresh, two-thirds is frozen in glaciers and polar ice.
When Samuel Taylor Coleridge wrote the words, “Water, water everywhere, but not a drop to drink” in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 in 1798, the dangers of drinking seawater had been known for thousands of years. ① Seawater does indeed make men mad. ② Historical evidence indicates the ancient Egyptians knew seawater was not potable, but the earliest realization that it was unsafe to drink has been lost to antiquity. ③ In pre-Columbian times, the greatest fear of venturing too far from land on the ocean was not falling off the surface of the Earth but lack of fresh drinking water. ④ From a human perspective, the oceans, which cover 70% of Earth’s surface, are still the most extensive and unique desert wildernesses on the planet. ⑤ Thus, a mere 1% of all the water on the planet (in lakes and rivers, groundwater, and the atmosphere) is fresh and can be used by terrestrial plants and animals.
* potable: 마시기에 적합한 ** terrestrial: 육상의
[주제] 바닷물을 마시는 것의 위험성
[정답] ⑤
[해석]
1798년 Samuel Taylor Coleridge가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에서 ‘물, 물은 어디에나 있지만, 마실 물은 한 방울도 없다’라는 시구절을 썼을 때, 바닷물을 마시는 것의 위험성은 수천 년 동안 알려져 왔다. 바닷물은 실제로 정말 사람을 미치게 한다. 역사적 증거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바닷물이 마시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을 나타내지만, 그것이 마시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가장 이른 시기의 깨달음은 까마득한 태고 시대의 일이었다.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는 육지에서 너무 멀리 나가서 바다로 모험을 떠나는 것에 대한 가장 큰 두려움은 지표면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식수용 담수의 부족이었다. 인간의 관점에서 볼 때, 바다는 지표면의 70퍼센트를 차지하는데, 여전히 지구상에서 가장 광활하고 독특한 사막 같은 황량한 지역이다. 바닷물은 지구 물의 97퍼센트를 구성하며, 담수인 3퍼센트 중에서 3분의 2는 빙하와 극지방의 얼음으로 얼어 있다. 따라서 지구상의 모든 물 중 (호수와 강, 지하수, 대기에 있는) 단 1퍼센트만이 담수이면서 육상 동식물이 이용할 수 있다.
22강 1번.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Shifting demographics, household structures, lifestyle preferences, and consumer values suggest a different built environment and urban fabric 30 years ahead compared with 30 years ago. More and more Americans, Australians, and Europeans are choosing to live in settings where they are less dependent on their cars because reducing air pollution and energy use matters to them. A 2011 survey of more than two thousand adult Americans found seven times more people said the neighborhood where a house is located is a bigger consideration in deciding where to live than the size of the house. Walking to restaurants, businesses, schools, and other amenities was the most appealing neighborhood feature for many respondents. To many 20- and 30-somethings, walkable communities are equated with a downsized environmental footprint and energy efficiency, with the added benefit of burning calories during everyday activities. If green buildings and solar panels dot the landscape and rooftops, all the better. Notes one economist with the Urban Land Institute, “Energy efficiency is becoming the new granite countertops; it’s a necessary feature to sell the property.” * amenity: 생활 편의 시설 ** dot: (점으로) 덮다 *** granite: 화강암
① preferred housing types in urban areas by generation
② urban neighborhood facilities attracting young people
③ 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suburban areas
④ growing preference for housing locations in walkable neighborhoods
⑤ factors to consider when buying a house in an inner city versus a suburb
[주제] 거주지 결정 시 선호되는 항목
[정답] ④
[해석]
변화하는 인구 통계, 가구 구조, 생활 방식 선호도, 소비자가치관은 30년 전과 비교해 향후 30년의 다른 건축 환경과 도시구조를 시사한다. 점점 더 많은 미국인, 호주인, 유럽인이 대기 오염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것이 자신들에게 중요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덜 의존하는 환경에서 살기를 선택하고 있다. 2천 명이 넘는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의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거주지를 결정할 때 집의 크기보다 집이 위치한 동네가 더 큰 고려 사항이라고 답한 사람이 일곱 배나 더 많았다. 식당, 상점, 학교 및 기타 생활 편의 시설까지 걸어 다닌다는 점이 많은 응답자에게 가장 매력적인 동네의 특징이었다. 많은 20~30대에게 걸어 다닐 수 있는 지역 사회는 환경 발자국 감소 및 에너지 효율성과 동일시되며, 일상 활동 중에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친환경 건물과 태양 전지판이 경관과 옥상을 덮고 있다면 더욱더 좋다. Urban Land Institute의 한 경제학자는 “에너지 효율성이 새로운 화강암 조리대 상판이 되고 있다. 즉, 그것은 부동산을 팔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장점이다.”라고 말한다.
'부교재 아카이브 > 2025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특강 영어] 21강 1번, 2번 문제 및 분석(변형) (0) | 2024.05.26 |
---|---|
[2025 수능특강 영어] 20강 3번 문제 및 분석(변형) (0) | 2024.05.25 |
[2025 수능특강 영어] 20강 1번, 2번 문제 및 분석(변형) (0) | 2024.05.25 |
[2025 수능특강 영어] 17강 4번 문제 및 분석(변형) (0) | 2024.05.21 |
[2025 수능특강 영어] 17강 3번 문제 및 분석(변형)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