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교재 아카이브/2025 수능특강 영어

[2025 수능특강 영어] 21강 1번, 2번 문제 및 분석(변형)

반응형

2025 수능특강 영어 21강 1번, 2번 문제 및 분석(변형)입니다.

 

 

2025 수능특강 영어 - 내신 영어의 숲

21강 1번.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is uncontroversially true that people in different societies have different customs and different ideas about right and wrong. There is no world consensus on which actions are right and wrong, even though there is a considerable overlap between views on this. If we consider how much moral views have changed both from place to place and from age to age it can be tempting to think that there are no absolute moral facts, but rather that morality is always relative to the society in which you have been brought up. On such a view, since slavery was morally acceptable to most Ancient Greeks but is not to most Europeans today, slavery was right for the Ancient Greeks but would be wrong for today’s Europeans. This view, known as moral relativism, makes morality simply a description of the values held by a particular society at a particular time. This is a meta-ethical view about the nature of moral judgements. Moral judgements can only be judged true or false relative to a particular society. There are no absolute moral judgements: they are all relative.

 

① the harmful effects of moral relativism

② the relative nature of moral judgements

③ considerations in making moral judgements

④ why moral judgments are not always desirable

⑤ moral behavior as a means of self-improvement

 

 

 

 

[주제]

도덕적 판단의 상대성

 

[정답]

 

[해석]

서로 다른 사회의 사람들은 서로 다른 관습과 옳고 그름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어떤 행동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견해는 상당 부분 겹치기는 하지만, 그것에 관한 전 세계적인 합의는 없다. 도덕적 견해가 지역에 따라서도 또한 시대에 따라서도 얼마나 많이 변해 왔는지 생각해 보면, 절대적인 도덕적 사실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도덕성은 항상 여러분이 자라 온 사회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솔깃한 일일 수 있다. 그러한 관점에 따르면, 노예 제도는 대부분의 고대 그리스인에게는 도덕적으로 용인되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유럽인에게는 그렇게 되지 않으므로, 노예 제도는 고대 그리스인에게는 옳았지만, 오늘날의 유럽인에게는 잘못된 것일 것이다. 도덕적 상대주의로 알려진 이 관점은 도덕성을 특정 시기에 특정 사회가 지닌 가치관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게 만든다.

이는 도덕적 판단의 본질에 관한 메타 윤리적 관점이다. 도덕적 판단은 오로지 특정 사회와 관련하여 옳거나 그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뿐이다. 절대적인 도덕적 판단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은 모두 상대적이다.

 

 

 

21강 2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the United States has one of the easiest geographies to develop, Mexico has one of the most difficult. The entirety of Mexico is in essence the southern extension of the Rocky Mountains, which is a kind way of saying that America’s worst lands are strikingly similar to Mexico’s best lands. As one would expect from a territory that is mountain-dominated, there are no navigable rivers and no large cohesive pieces of fertile land like the American Southeast or the Columbia valley, much less the Midwest. Each mountain valley is a sort of fastness where a small handful of oligarchs control local economic and political life. Mexico shouldn’t be thought of as a unified state, but instead as a collage of dozens of little Mexicos where local power brokers constantly align with and against each other (and a national government seeking—often in vain—to stitch together something more cohesive). In its regional disconnectedness, Mexico is a textbook case that countries with the greatest need for capital-intensive infrastructure are typically the countries with the lowest ability to generate the capital necessary to build that infrastructure.

* cohesive: 응집된, 결합력이 있는 ** oligarch: 과두 정치 독재자 *** infrastructure: 사회 기반 시설

 

① democratic atmosphere ② agricultural vastness

③ labor-intensive structure ④ regional disconnectedness

⑤ widespread industrialization

 

[주제] 멕시코의 지형과 지역적 단절

 

[정답]

 

 

 

[해석]

미국이 개발하기 가장 쉬운 지형 중 한 곳을 가지고 있다면, 멕시코는 가장 어려운 지형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멕시코 전체는 본질적으로 로키산맥의 남쪽 연장 부분인데, 이는 미국의 최악의 땅이 멕시코의 최상의 땅과 눈에 띄게 유사하다는 것을 완곡하게 말하는 것이다. 산악 지대가 많은 지역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미국 중서부는 말할 것도 없고, 미국 남동부나 컬럼비아 계곡처럼 배가 다닐 수 있는 강이 없고 넓고 응집된 비옥한 땅도 없다. 각각의 산골짜기는 소수의 과두 정치 독재자가 지역의 경제생활과 정치 생활을 통제하는 일종의 요새이다. 멕시코는 통일된 국가가 아니라, 대신에 지역의 실세들이 끊임없이 서로 손을 잡고, 서로 맞서는 수십 개의 작은 멕시코의 모음(그리고 흔히 헛된 노력으로 더 응집력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 내려고 시도하는 정부)으로 여겨져야 한다. 지역적 단절로 인해 멕시코는 자본 집약적 사회기반 시설이 가장 필요한 국가가 일반적으로 그 사회 기반 시설구축에 필요한 자본을 창출하는 능력이 가장 낮은 국가인 교과서적인 사례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