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영어 모의고사 20번, 21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 means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about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 so as to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Dealing with such complex problems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irroring real-world problems requires innovative ways of planning and organizing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Navigating our world means being able to quantify, measure, estimate, classify, compare, find patterns, conjecture, justify, prove, and generalize within critical thinking and when using critical thinking. [서술형 대비] Therefore, making decisions, even qualitatively, is not possible without using mathematics and critical thinking.
[주제문] Thus,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done in interaction with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a decision-making process. They can be developed into the mathematical context, so that there is no excuse to not explicitly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
①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 결정 능력이 수학적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한다.
② 객관적 사고를 위해 사회 현상을 수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③ 수학 수업의 과제는 실생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연관되어야 한다.
④ 의사 결정 시 정량적인 방법에 치중해 정성적인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⑤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범교과적인 학습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해석]
수학적 문해력이 있다는 것은 수학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하기 위해서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교과적인 접근법을 통해 그러한 복잡한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실생활 문제들을 반영하는 것은 수학적 교수 방법을 계획하고 조직하는 혁신적인 방법들을 요구한다. 우리의 세계를 탐색한다는 것은 비판적 사고 안에서 그리고 비판적 사고를 사용할 때 수량화하고, 측정하고, 추산하고, 분류하고, 비교하고, 패턴을 찾고, 추측하고, 근거를 제시하고, 증명하고, 일반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수학과 비판적 사고를 사용하지 않고 의사 결정을 하는 것은 질적인 경우에라도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수학을 가르치는 것은 의사 결정 과정과 함께 비판적 사고와의 상호 작용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들은 수학적인 맥락 안에서 발전될 수 있고, 학생들이 그것들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을 경우 변명의 여지가 없다.
21. 밑줄 친 Popping a pill cannot make you a better person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magine that your usually stingy friend delights in buying you a Christmas present after taking a generosity booster. How would you feel? Undoubtedly, there is something praiseworthy about the action. You’d be pleased to receive the gift. You’d say ‘thank you’, and mean it. But his change of heart is not entirely satisfying. According to Zagzebski, an American philosopher, he is not really generous. When we praise someone’s character, we use words for various virtues: ‘generous’, ‘kind’, ‘courageous’, etc. A person who gives one gift isn’t generous. Instead, generosity is a stable part of a person’s ‘moral identity’, an emotional habit that is part of who you are. Thus virtues, as opposed to nontypical impulse, are the result of your personal history. They are part of who you are, as they are part of how your character was formed. Instant virtue is therefore impossible. Popping a pill cannot make you a better person.
① Impulsive deeds rather than habitual actions can damage reputation.
② Insincere goodwill does not impress others regardless of frequency.
③ Material rewards can be a shortcut to make someone a good person.
④ Good traits come from established behavior, not from a single action.
⑤ Virtue cannot be acquired by habits as someone’s character is inborn.
[해석]
평소에 인색한 여러분의 친구가 관대함 효능 촉진제를 먹고 난 이후에 여러분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 주며 매우 기뻐한다고 상상해 보라. 여러분은 어떻게 느끼겠는가? 의심할 여지없이, 그 행동에
는 칭찬할 만한 점이 있다. 여러분은 선물을 받아서 기뻐할 것이다. 여러분은 ‘고마워’라고 말하고, 그것은 진심일 것이다. 하지만 그의 마음의 변화는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미국의 철학자인 Zagzebski에 따르면, 그는 진정으로 관대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12누군가의 인품을 칭찬할 때 ‘관대한,’ ‘친절한,’ ‘용기 있는’ 등 다양한 미덕에 대한 단어를 사용한다. 선물을 하나 준 사람이 관대한 것은 아니다. 대신에, 관대함은 누군가의 ‘도덕적 정체성’의 안정된 일부인데 그것은 여러분의 모습의 일부인 정서적 습관이다. 따라서 미덕은, 비전형적인 충동과는 달리, 여러분 개인 역사의 결과이다. 그것들이 여러분의 인품이 형성되었던 방식의 일부이기 때문에 그것들은 여러분의 모습 중 일부이다. 그러므로 즉각적인 미덕은 있을 수 없다. 약 한 알을 먹는 것이 여러분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 수는 없다.
'모의고사 아카이브 > 24년 고2 10월 모의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0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2번, 33번 문제 및 해석 (0) | 2024.11.05 |
---|---|
2024년 10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0번, 31번 문제 및 해석 (0) | 2024.11.05 |
2024년 10월 고2 영어 모의고사 24번, 29번 문제 및 해석 (0) | 2024.10.29 |
2024년 10월 고2 영어 모의고사 22번, 23번 문제 및 해석 (0)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