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6월 모의고사

[ebsi 고등] 2024년 6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2번, 33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6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2번, 33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32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Creativity is commonly defined as the production of ideas that are both novel (original, new) and useful (appropriate, feasible). Ideas that are original but not useful are irrelevant, and ideas that are useful but not original are unremarkable. While this definition is widely used in research, an important aspect of creativity is often ignored: Generating creative ideas rarely is the final goal. Rather, to successfully solve problems or innovate requires one or a few good ideas that really work, and work better than previous approaches. This requires that people evaluate the products of their own or each other’s imagination, and choose those ideas that seem promising enough to develop further, and abandon those that are unlikely to be successful. Thus, being creative                                        .

In fact, the ability to generate creative ideas is essentially useless if these ideas subsequently die a silent death.

 

① does not stop with idea generation

② rarely originates from practical ideas

③ is often regarded as a shortcut to innovation

④ frequently gives way to unanticipated success

⑤ brings out tension between novelty and relevancy

 

[주제]

창의적인 것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생성하여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이 이어져야 한다.

 

[정답]

 

[해석]

창의성은 참신하고(독창적이고, 새로운) 유용한(적절하고.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것으로 흔히 정의된다. 독창적이지만 유용하지 않은 아이디어는 무의미하고, 유용하지만 독창적이지 않은 아이디어는 특별한 것이 없다.

이러한 정의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창의성의 중요한 측면이 흔히 간과되는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인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거나 혁신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작동하고 이전 접근 방식보다 더 잘 작동하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좋은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람들은 자기 자신 또는 서로의 상상력 산물을 평가하고, 더 발전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유망해 보이는 아이디어를 선택하며, 성공 가능성이 작은 것들은 포기해야 한다. 따라서 창의적인 것은 아이디어 생성에서 멈추지 않는다.

사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은 이러한 아이디어가 이후 조용히 죽어 없어진다면 본질적으로 쓸모가 없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Because the environ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iding meaningful internal processes, subjective experience and the environment act as a ‘coupled system.’ This coupled system can be seen as a complete cognitive system of its own. In this manner, subjective experience is extended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vice versa;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 its disciplinary objects such as institutional laws and equipment becomes mental institutions that                               .

A subjectively held belief attains the status of objectivity when the belief is socially shared. That is, even if we are trained as hard-nosed health care rationalists, or no-nonsense bureaucrats, or data-driven scientists, research has shown that our decisions are influenced by various institutional practices. They include bureaucratic structures and procedures, the architectural design of health care institutions, the rules of evidence and the structure of allowable questions in a courtroom trial, the spatial arrangement of kindergartens and supermarkets, and a variety of conventions and practices designed to manipulate our emotions. [3점] * vice versa: 역으로 ** bureaucrat: 관료

 

① affect our subjective experience and solutions

② serve as advocates for independent decision-making

③ position social experience within the cognitive system

④ comprise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the environment

⑤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our concept of subjectivity

 

[주제] 환경과 주관적 경험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결합된 시스템’으로 작용하므로, 주관적 경험은 외부 환경으로 확장되고, 반대로 외부 환경은 우리의 주관적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해석]

환경이 의미 있는 내적 과정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관적 경험과 환경은 ‘결합된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이 결합된 시스템은 자체로 하나의 완전한 인지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주관적 경험은 외부 환경으로 확장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제도적 법률과 장비와 같은 규율 객체를 지닌 외부 환경은 우리의 주관적 경험과 해결책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제도가 된다.

주관적으로 가지고 있는 믿음이 사회적으로 공유될 때 그 믿음은 객관성의 지위를 얻는다.

즉, 우리가 엄격한 의료 합리주의자, 혹은 현실적인 관료, 혹은 데이터 기반의 과학자로 훈련되어 있다고 해도,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결정은 다양한 제도적 관행의 영향을 받는다.

그것에는 관료적 구조와 절차, 의료 기관의 건축 설계, 법정 재판에서 증거 규칙과 허용되는 질문의 구조, 유치원과 슈퍼마켓의 공간 배치, 그리고 우리의 감정을 다루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관습과 관행이 포함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