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특강 영어 4강(주장 파악) 문제 분석 및 해석입니다.
목차
1. 4강 Gateway 문제
2. 4강 1번 문제
3. 4강 2번 문제
4. 4강 3번 문제
5. 4강 4번 문제
4강 Gateway. 2025학년도 수능 20번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almost universally accept that playing video games is at best a pleasant break from a student's learning and more often what prevents a student from accomplishing their goals. Games catch and hold attention in a way that few things can. And yet once they have our focus, they rarely seem to offer anything meaningful to help students grow in their lives outside the games. While this may be true for many games, we are too easily ignoring a valuable tool that could be used to enhance productivity instead of derailing it. [주제문] Rather, it is desirable that we develop games that connect to the learning outcomes we want for our students. This will enable educators to take advantage of games' attention commanding capacities and allow our students to enjoy their games while learning.
①학습 효과 증진에 활용될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해야 한다.
②교육 현장에서 학습과 게임 활동을 적절하게 분배해야 한다.
③학습 활동에 게임이 초래하는 집중력 저하를 경계해야 한다.
④여가 시간에 게임을 활용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향상해야 한다.
⑤게임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학습 공동체가 노력해야 한다.
[정답] ①
[소재]
게임의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
[해석]
우리는 거의 보편적으로 비디오 게임을 하는 것이 기껏해야 학생이 학습에서 잠시 벗어나는 즐거운 휴식이고, 더 흔히는 학생이 목표를 이루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인다. 게임은 다른 어떤 것도 거의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주의를 사로잡아 계속해서 유지한다. 하지만 일단 그것(게임)이 우리의 집중을 얻고 나면, 그것은 학생들이 게임 이외의 삶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어떤 의미 있는 것도 제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것 같다. 이것이 많은 게임에 있어서 사실일 수도 있지만, 우리는 생산성을 저해하는 대신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치 있는 도구를 너무 쉽게 무시하고 있다. 오히려, 우리가 학생들에게 원하는 학습성과와 연결되는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게임의 주의력 지배 능력을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우리 학생들은 학습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생기부 조회하는 방법 궁금하세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나이스학생서비스와 나이스학부모서비스 손쉽게 사용하기! (생기부 조회 바로가기)
목차1. 나이스 학생서비스2. 나이스 학부모서비스3. 학교생활기록부 증명 바로가기 1. 나이스 학생서비스 나이스 학생서비스는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건강기록부, 성적, 출결사항, 학사
englishforest07.tistory.com
4강 1번.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think it's important to overcome any tendency to not talk about climate change for fear that other people might not feel the same way. If you agree that changes need to happen to address climate change, you are not on the fringe of society, but in line with the 97 percent of scientists that agree climate change is happening. [주제문] Talking abou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oncerns can be a prompt to working together with others.
Incorporating sustainable habits into our lives can be the most fun when we are doing it with the people that surround us. By sharing interesting facts or strategies with family, friends, neighbors, or coworkers on how to live more sustainably, we can also spread the impetus for change. Suggest some healthy competition on waste or energy reduction efforts to get your close network involved in reducing their impact as well.
fringe: 가장자리 * impetus: 추진력
①기후 변화에 대한 사회적 대응은 과학적 지식에 기반해야 한다.
②기후 변화 대응 방안의 폭넓은 이해를 위한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③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해야 한다.
④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공동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⑤주변 사람들과 기후 변화에 대해 논의하며 지속 가능한 습관을 함께 실천해야 한다.
[정답] ⑤
[소재] 기후 변화에 관한 대화의 중요성
[해석]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같은 생각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기후 변화에 관해 이야기하지 않는 경향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후 변화를 다루기 위해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면, 여러분은 사회의 가장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데 동의하는 97퍼센트의 과학자들과 같은 입장에 있는 것이다.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에 촉진제가 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습관을 우리 삶에 포함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 주변 사람들과 그것을 함께 하고 있을 때 가장 재미있을 수 있다. 가족, 친구, 이웃, 또는 동료들과 더 지속 가능하게 사는 방법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이나 계획을 공유함으로써 우리는 변화의 추진력을 확산할 수도 있다. 여러분의 가까운 지인들도 그들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참여하게 하도록 쓰레기나 에너지 절감 노력에 대한 건전한 경쟁을 제안하라.
2026 수능날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ebsi 고등] 2026 수능 날짜와 2026 수능특강 출시, EBS 무료 강의 신청하기
오늘은 2026 수능특강의 특징과 ebs 영어 무료 강의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목차 1. 2026 수능특강 2. 2026 수능특강과 EBS 연계율3. EBS 고등 영어 강의 소개4. EBS 추천 교재 1. 2026 수능특강
englishforest07.tistory.com
4강 2번.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setting writing tasks, either at home or school, think about how you would set yourself up if you had to write something for a period of time. Would you grab a cup of tea, clear some space on a tabletop, sit on a comfy desk chair, use your best pen? What else would you do? And whatever it is, minus perhaps the cup of tea, see if you can allow children similar luxuries. Are they thirsty, are they warm enough, is the desk/table at the right height, is the sun in their eyes, are they hungry, is their pencil sharp? [주제문] And ask them what they need to write more comfortably. All these simple checks might be frustrating and delay the start of the task, but they are so important for enabling children to gain success in reading and writing and to see it in a positive light. You'll also find that children will get quicker at these checks and take control of them themselves over time, providing them with a toolkit to ensure their own well-being when writing.
①아이들이 과제를 더디게 시작하더라도 기다려야 한다.
②아이들이 글을 쓸 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③글쓰기 과제를 설정할 때 아이들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④과제 수행 전에 아이들의 학습 수준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
⑤글 쓰기 전 충분한 독서로 배경지식을 쌓을 기회를 주어야 한다.
[정답] ②
[소재]
글 쓰기 좋은 환경 조성의 중요성
[해석]
집이나 학교에서 글쓰기 과제를 준비할 때, 여러분이 일정 시간 동안 무언가를 써야 한다면 어떤 준비를 할지 생각해 보라.
마실 차 한 잔을 준비하고, 탁자 위에 얼마간의 공간을 비우고, 편안한 책상 의자에 앉아, 가장 좋은 펜을 사용하겠는가? 그 외에 무엇을 할 것인가? 그리고 그게 무엇이든, 아마도 차 한잔을 제외하고는, 여러분이 아이들에게 비슷한 호사를 허용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라. 그들이 목이 마른가, 그들이 몸이 충분히 따뜻한가, 책상이나 탁자의 높이는 적당한가, 햇빛이 눈에 들어오는가, 그들이 배가 고픈가, 연필은 뾰족한가? 그리고 그들에게 더 편안하게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라. 이 모든 간단한 점 검이 불만스럽고, 과제의 시작을 지연시킬 수도 있지만, 그것은 아이들이 읽기와 쓰기에 성공하고 그것을 긍정적으로 보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여러분은 또한 아이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점검을 더 빨리 하고 스스로 그것들을 통제하게 되어, 글쓰기를 할 때 그들에게 자신의 행복을 보장하는 도구를 제공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아래 링크에서 2025년 3월 모의고사 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3월 모의고사 일정 및 2026 수능 날짜, 전형일정 한눈에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내신 영어의 숲입니다!오늘은 2025년 고등학교 모의고사 시험일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목차 1. 2025년 모의고사 시험일정2.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3. 2026학년도 전형
englishforest07.tistory.com
4강 3번.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Engineering serves society, and engineering and engineers are part of society. It is essential therefore that they represent the society they are part of and meet the needs of. The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has focused on promoting diversity, making 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 a 'critical thread' running through their strategy for the next 5 years. Dame Wendy Hall, whose review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Al) with Jerome Pesenti is shaping the UK strategy on Al, insists that [주제문] establishing ethics in Al must mean tackling the challenge of diversity - and is frequently quoted as saying that if a system is not diverse, it is not ethical. =다양성이 중요!
Al will underpin engineering systems of the future, and developing Al systems is a key challenge for engineers. As with all areas of engineering, to serve society it is essential that society is understood, involved, and represented, across its breadth. *underpin: 떠받치다
①공학자는 기술 발전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
②인공 지능과 기타 공학 분야가 조화를 이루어 발전해야 한다.
③인공 지능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회적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
④국가의 인공 지능 전략 수립은 사회 구성원의 합의에 기반해야 한다.
⑤인공 지능 개발이 사회의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올바르게 파악해야 한다.
[정답] ③
[소재]
인공 지능 시스템 개발 시 다양성 도모의 필요성
[해석]
공학은 사회에 봉사하고, 공학과 공학자는 사회의 일부이다. 따라서 그들이 자신들이 일부이며 (그것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사회를 대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Royal Academy of Engineering은 평등, 다양성, 포용을 향후 5년간의 전략을 관통하는 '중요한 줄기'로 삼아 다양성을 증진하는 데 주력해 왔다.
Wendy Hall 여사는, Jerome Pesenti와 함께 한 그의 인공 지능에 대한 검토가 영국의 인공 지능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는데, 인공지능에서 윤리를 확립하는 것은 다양성 문제를 다루는 것을 뜻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시스템이 다양하지 않으면 윤리적이지 않다고 말하는 것으로 자주 인용된다. 인공 지능은 미래의 공학 시스템을 떠받칠 것이며, 인공 지능 시스템 개발은 공학자의 핵심 과제이다. 모든 공학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에 봉사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폭넓게 이해되고, 관련되며, 대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4강 4번.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ethos of the American mind includes the belief that people who overcome a crisis are tough and unemotional, almost like the US version of the English expression "keep a stiff upper lip." Yet, the body of research exploring the most productive ways to respond to adversity and stress (which crises have in spades) contradicts this view. The findings indicate that emotional expression (i.e., talking about your feelings rather than bottling them up)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daptation and growth. [주제문] So, whether you're experiencing fear, frustration, anger, despair, or any other emotion, share them with others. You'll feel better from having an emotional release and feel support from those with whom you share. Plus, the opportunity to process your emotions with a trusted friend will put you in a better space from which to tackle the crisis. As Nelson Mandela put it, "Live life as though nobody is watching, and express yourself as though everyone is listening." *ethos: (특정 집단• 사회의) 기풍, 정신 ** in spades: 확실히
①신뢰 회복을 위해 내적 강인함과 과묵함을 유지하라.
②위기 극복을 위해 자신의 감정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라.
③윤리적 삶을 위해 자신의 도덕 규칙에 충실한 삶을 영위하라.
④상황 대처 능력을 기르기 위해 스트레스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라.
⑤원만한 인간관계 유지를 위해 지나치게 부정적인 감정 표현을 자제하라.
[정답] ②
[소재]
위기 극복을 위한 감정의 공유
[해석]
미국인의 정신 기풍에는 위기를 극복하는 사람들은 강인하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믿음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입을 굳게 다물라'라는 영국 표현의 미국판과 거의 같다. 그러나 역경과 (위기가 확실히 지니고 있는) 스트레스를 가장 생산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많은 연구는 이 견해와 어긋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감정 표현(즉,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말하는 것)은 적응력 및 성장의 향상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두려움, 좌절, 분노, 절망 또는 다른 어떤 감정을 경험하고 있든지 간에, 그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라. 여러분은 감정을 발산함으로써 기분이 나아지고, 함께 공유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지지를 느낄 것이다. 게다가 신뢰할 수 있는 친구와 감정을 처리할 기회를 얻게 되면, 여러분은 위기를 다룰 수 있는 더 나은 상태에 있게 될 것이다. 넬슨 만델라가 말했듯이,"아무도 보고 있지 않은 것처럼 인생을 살고, 모든 사람이 듣고 있는 것처럼 자신을 표현하라."
'부교재 아카이브 > 2026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 수능특강 영어 5강 문제 분석 및 해석, 정답 확인하기 (0) | 2025.02.13 |
---|---|
2026 수능특강 영어 3강 문제 분석 및 해석, 정답 확인하기 (0) | 2025.02.09 |
2026 수능특강 영어 2강 문제 분석 및 정답 확인하기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