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

[모의고사] 22년 고2 11월 41-42번 지문 분석 및 변형 문제

반응형

[모의고사] 22년 고2 11월 41-42번 지문 분석 및 변형 문제입니다.

 

노력하여서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네요 ^^

 

41-42번.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neuropsychologist, Michael Gazzaniga conducted a study that shows that our brains (a)excel at creating [빈칸 추론] coherent (but not necessarily true) stories that [help/deceive] us.

=뇌가 우리를 속이는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 탁월함을 보여줌. 

 

In the study, split-brain patients=분리 뇌 환자들 (show변형) an image such that=~할 정도로 it=이미지 was visible to only their left eye and (ask변형) to select a related card with their left hand. = 왼쪽 신체만 사용

 

Left-eye vision and left-side body movement (control변형) by the right hemisphere. = 왼쪽 = 우뇌에 의해 제어

 

In a split-brain pati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right and left hemispheres (break변형), (mean변형) no information can cross from one hemisphere to the other. = 분리 뇌 환자들은 우뇌-좌뇌 연결이 끊어져 정보가 서로 전달되지 못함.

 

[On the other hand/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right hemisphere was doing all of the work, and the left hemisphere was (b)aware of what was happening.  = 우뇌가 모든 작업을 하고 있었고, 좌뇌는 그 작업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함.

 

Gazzaniga then asked participants why they chose the card that they did. = 그들이 선택했던 그 카드를 왜 선택했는지 질문했다.

 

Because language (process변형) and generated in the left hemisphere, the left hemisphere (require변형) to respond.

=언어는 좌뇌에서 처리되고 생성되기 때문에 좌뇌가 응답하도록 요구된다.

 

연결어 중요 However, [because/because of] the experiment’s design, only the right hemisphere knew why the participant selected the card.

=오직 우뇌만이 왜 그 참가자가 그 카드를 선택했는지 알고 있었다.

 

[문장 삽입] 연결어 중요 As a result, Gazzaniga expected the participants to be (c)silent when asked to answer the question.

=언어는 좌뇌에서 처리되고, 작업은 우뇌에서 했기때문에 답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함. 

 

연결어 중요 But instead, every subject fabricated a response.

The left hemisphere (ask변형) to provide a (d)rationalization for a behavior (do변형) by the right hemisphere.

 

The left hemisphere didn’t know the answer. But that=참가가가 카드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좌뇌가 답을 알지 못한 것 didn’t keep it from fabricating an answer. =그것이 좌뇌가 답을 꾸며 내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That answer, however, had no basis in reality. = 그 답이 사실에 기반한 것은 아니다. 

 

Now if this study (limit변형) to split-brain patients, it would be interesting but not very (e)relevant to us.

 

It turns out split-brain patients aren’t the only ones who fabricate reasons. = 이 실험이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됨.

 

We all do it. We all need a [coherent /incoherent] story about ourselves, and when information in that story is [fulfilled/missing], our brains simply fill in the details.

*coherent: 일관성 있는

41번.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ich Side of the Brain Do We Tend to Use More?

How Our Brain’s Hemispheres Interact in Storytelling

The Deceptive Brain: Insights from a Split-Brain Patient Study

To Be Creative, Activate Both Hemispheres of Your Brain!

The Dominance of the Left Brain in Image Processing

 

42번.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b) (c) (d) (e)

 

[주제]

The Deceptive Brain: Insights from a Split-Brain Patient Study

(속이는 뇌: 분리 뇌 환자 연구에서의 통찰력)

 

신경 심리학자 Michael Gazzaniga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뇌가 우리를 속이는 일관성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 탁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해석]

신경 심리학자 Michael Gazzaniga는 우리의 뇌가 우리를 속이는 일관성 있는 (그러나 반드시 사실은 아닌)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 탁월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연구를 수행했다.

그 연구에서 분리 뇌 환자들에게 그들의 왼쪽 눈에만 보이도록 이미지를 보여 주고 그들의 왼손으로 관련 있는 카드를 선택하도록 요청했다.

왼쪽 눈의 시력과 왼쪽 몸의 움직임은 우뇌에 의해 제어된다. 분리 뇌 환자에게 있어 우뇌와 좌뇌 사이의 연결은 끊어졌으며 이는 한쪽 뇌에서 다른 쪽 뇌로 정보가 건너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우뇌가 모든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고, 좌뇌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있었다(알지 못하고 있었다).

Gazzaniga는 그 후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선택했던 그 카드를 왜 선택했는지 질문했다.

언어는 좌뇌에서 처리되고 생성되기 때문에 좌뇌가 응답하도록 요구된다.

그러나 그 실험의 설계 때문에 오직 우뇌만이 왜 그 참가자가 그 카드를 선택했는지 알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Gazzaniga는 참가자들이 질문에 답할 것을 요청받았을 때 침묵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그 대신에 모든 피실험자는 응답을 꾸며 냈다.

좌뇌는 우뇌에 의해 행해진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라는 요청을 받고 있었다.

좌뇌는 답을 알지 못했다. 그러나 그것이 좌뇌가 답을 꾸며 내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 대답은 사실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 만약 이 연구가 분리 뇌 환자에만 제한됐었다면, 그것은 흥미롭지만 우리와 매우 관련 있는 일은 아닐 것이다.

분리 뇌 환자들이 이유를 꾸며 내는 유일한 사람이 아닌 것으로 드러난다. 우리 모두 그렇게 한다. 우리 모두는 자신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야기를 필요로 하고 그 이야기에서 정보가 빠져 있을 때, 우리의 뇌는 단순히 세부 사항을 채운다.

 

 

[정답] 41. 42.

 

 

A neuropsychologist, Michael Gazzaniga conducted a study that shows that our brains (a)excel at creating [빈칸 추론] coherent (but not necessarily true) stories that [help/deceive] us.

=뇌가 우리를 속이는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 탁월함을 보여줌. 

 

In the study, split-brain patients=분리 뇌 환자들 (show변형)were shown an image such that=~할 정도로 it=이미지 was visible to only their left eye and (ask변형)asked to select a related card with their left hand. = 왼쪽 신체만 사용

 

Left-eye vision and left-side body movement (control변형)are controlled by the right hemisphere. = 왼쪽 = 우뇌에 의해 제어

 

In a split-brain pati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right and left hemispheres (break변형)has been broken, (mean변형)meaning no information can cross from one hemisphere to the other. = 분리 뇌 환자들은 우뇌-좌뇌 연결이 끊어져 정보가 서로 전달되지 못함.

 

[On the other hand/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right hemisphere was doing all of the work, and the left hemisphere was (b)aware of what was happening.  = 우뇌가 모든 작업을 하고 있었고, 좌뇌는 그 작업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함.

 

Gazzaniga then asked participants why they chose the card that they did. = 그들이 선택했던 그 카드를 왜 선택했는지 질문했다.

 

Because language (process변형)is processed and generated in the left hemisphere, the left hemisphere (require변형)is required to respond.

=언어는 좌뇌에서 처리되고 생성되기 때문에 좌뇌가 응답하도록 요구된다.

 

연결어 중요 However, [because/because of] the experiment’s design, only the right hemisphere knew why the participant selected the card.

=오직 우뇌만이 왜 그 참가자가 그 카드를 선택했는지 알고 있었다.

 

[문장 삽입] 연결어 중요 As a result, Gazzaniga expected the participants to be (c)silent when asked to answer the question.

=언어는 좌뇌에서 처리되고, 작업은 우뇌에서 했기때문에 답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함. 

 

연결어 중요 But instead, every subject fabricated a response.

The left hemisphere (ask변형)was being asked to provide a (d)rationalization for a behavior (do변형)done by the right hemisphere.

 

The left hemisphere didn’t know the answer. But that=참가가가 카드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좌뇌가 답을 알지 못한 것 didn’t keep it from fabricating an answer. =그것이 좌뇌가 답을 꾸며 내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That answer, however, had no basis in reality. = 그 답이 사실에 기반한 것은 아니다. 

 

Now if this study (limit변형)had been limited to split-brain patients, it would be interesting but not very (e)relevant to us.

 

It turns out split-brain patients aren’t the only ones who fabricate reasons. = 이 실험이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됨.

 

We all do it. We all need a [coherent /incoherent] story about ourselves, and when information in that story is [fulfilled/missing], our brains simply fill in the detail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