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6월 모의고사

[ebsi 고등] 2024년 6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0번, 21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6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0번, 21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s the world seems to be increasingly affected by the ever-expanding influence of machines in gener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cifically, many begin to imagine, with either fear or anticipation, a future with a diminished role for human decision making. Whether it be due to the growing presence of AI assistants or the emergence of self-driving cars,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humans as the decision makers would appear to be in decline. After all, our capacity for making mistakes is well documented. However, perhaps the saving grace of human determination is to be found here as well. Little evidence exists that suggests modern AI’s infallibility or predicts it in the future. It is crucial that, in light of humanity’s acceptance of our own fallibility, we utilize our capacity to overcome such failures to position ourselves as the overseers of AI’s own growth and applications for the foreseeable future.

 

① 인간은 AI의 발전 가능성과 불안정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② 인간은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AI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③ 실수를 보완하기 위해 인간은 AI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④ AI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인간은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⑤ AI의 영향력 확산에 대비하여 인간은 오류 극복 능력을 활용해야 한다.

 

 

[주제] AI의 영향력 확산에 대비하여 인간은 오류 극복 능력을 활용해야 한다.

 

인공지능(AI)의 영향력 증대와 이에 따른 인간 의사결정 역할의 변화에 대한 고찰입니다.

특히, AI의 성장과 활용에 있어서 인간이 여전히 중요한 감독 역할을 해야 하는 이유로 인간의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답]

 

[해석]

As the world seems to be [decreasingly/increasingly] affected by the ever-expanding influence of machines in gener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cifically, many begin to imagine, with either fear or anticipation, a future with a diminished role for human decision making.

일반적으로 기계, 특히 인공 지능(AI)의 영향력이 계속 확대되면서 세상이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처럼 보이면서 많은 사람들은 두려움이나 기대를 가지고 인간의 의사 결정에 대한 역할이 감소하는 미래를 상상하기 시작한다.

 

[서술형 대비] Whether it be due to the growing presence of AI assistants or the emergence of self-driving cars,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humans as the decision makers / would appear to be in decline.

AI 비서의 등장이나 자율주행차의 등장으로 인해 의사결정자로서 인간 역할의 필요성점점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After all, our capacity for making mistakes is well documented.

결국 실수를 저지르는 우리의 능력은 잘 문서화되어 있다.

 

연결어(However), perhaps [빈칸 대비] the saving grace of human determination is to be found here as well.

그러나 아마도 여기서도 인간의 결단력이 주는 구원의 은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 little/Little] evidence exists that suggests modern AI’s infallibility or predicts it in the future.

현대 AI의 무오류성을 시사하거나 미래에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증거는 거의 없다.

 

[서술형 대비][주제문] It is crucial that, in light of humanity’s acceptance of our own fallibility, we utilize our capacity to overcome such failures to position ourselves as the overseers of AI’s own growth and applications for the foreseeable future.

인류가 우리 자신의 오류를 수용한다는 관점에서, 우리는 가까운 미래에 AI 자체의 성장과 응용을 감독하는 감독자로서 우리 자신을 위치시키기 위해 그러한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1. 밑줄 친 Burnout hasn’t had the last wor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balance the need for breadth (everyone feels a bit burned out) and depth (some are so burned out, they can no longer do their jobs), we ought to think of burnout not as a state but as a spectrum.

In most public discussion of burnout, we talk about workers who “are burned out,” as if that status were black and white. A black-and-white view cannot account for the variety of burnout experience, though.

If there is a clear line between burned out and not, as there is with a lightbulb, then we have no good way to categorize people who say they are burned out but still manage to do their work competently.

Thinking about burnout as a spectrum solves this problem; those who claim burnout but are not debilitated by it are simply dealing with a partial or less-severe form of it. They are experiencing burnout without being burned out.

Burnout hasn’t had the last word.

* debilitate: 쇠약하게 하다

 

① Public discussion of burnout has not reached an end.

② There still exists room for a greater degree of exhaustion.

③ All-or-nothing criteria are applicable to burnout symptoms.

④ Exhaustion is overcome in different ways based on its severity.

⑤ Degrees of exhaustion are shaped by individuals’ perceptions.

 

[주제] 번아웃을 이분법적인 상태가 아닌 스펙트럼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

 

번아웃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번아웃의 다양한 경험을 더 잘 설명할 수 있으며, 부분적이거나 덜 심각한 형태의 번아웃을 겪는 사람들의 상황을 더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정답]

 

[해석]

 

[서술형 대비][주제문] To balance the need for breadth (everyone feels a bit burned out) and depth (some are so burned out, they can no longer do their jobs), we ought to think of burnout not as a state but as a spectrum.

폭(모든 사람이 약간 지쳐 있음을 느낀다)과 깊이(어떤 사람들은 너무 지쳐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음)에 대한 필요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우리는 번아웃을 상태가 아닌 스펙트럼으로 생각해야 한다.

 

In most public discussion of burnout, we talk about workers who “are burned out,” as if 가정법 that status (be) were black and white.

탈진에 대한 대부분의 공개 토론에서 우리는 마치 그 상태가 흑백인 것처럼 "탈진"한 근로자에 ​​대해 이야기한다.

 

A black-and-white view cannot account for the variety of burnout experience, though.

그러나 흑백 관점으로는 번아웃 경험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없다.

 

If there is a clear line between burned out and not, as there is with a lightbulb, then [서술형 대비] we have no good way to categorize people who say they are burned out but still manage to do their work competently.

전구와 마찬가지로 탈진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 사이에 명확한 선이 있다면, 탈진했다고 말하면서도 여전히 업무를 유능하게 수행하는 사람들을 분류할 좋은 방법이 없다.

 

(Think) Thinking about burnout as a spectrum / solves / this problem; [these/those] who claim burnout but are not debilitated by it are simply dealing with a partial or less-severe form of it.

번아웃을 스펙트럼으로 생각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탈진을 주장하지만 이로 인해 쇠약해지지 않는 사람들은 단순히 탈진의 부분적이거나 덜 심각한 형태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

 

They are experiencing burnout without being burned out. Burnout hasn’t had the last word. = There still exists room for a greater degree of exhaustion.

그들은 탈진되지 않은 채 탈진을 경험하고 있다. 번아웃은 마지막 말을 하지 못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