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5월 모의고사

2024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4번, 35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4번, 35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내신 영어의 숲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Many fish generate their own light in a biological firework display called bioluminescence. The lanternfish creates beams that sweep the sea like headlamps. The dragonfish produces wavelengths that only it can see, leaving its victims unaware of the approaching threat. In contrast, the anglerfish hopes its prey will notice and be lured toward its rod­like bioluminescent barbel; its fierce jaws stay hidden in the shadows. Bioluminescence is also used to frustrate predators. A species from the spookfish family relies on a bellyful of symbiotic, glowing bacteria to save it from becoming a meal. It uses the same concept developed by the US Navy during World War II to make bomber aircraft difficult to see. Just as Project Yehudi designed planes with under­wing spotlights, the fish’s glowing belly conceals its silhouette against sunlight to hide it from watching eyes below. In this fish­eat­fish world, survival is                                            . [3점]

* barbel: (물고기의) 수염 ** symbiotic: 공생의

 

① dependent upon communication within the same species

② a game of hide­and­seek that prioritizes the sense of sight

③ up to the ability to detect the subtle dance of sound waves

④ a competition to imitate the illumination of different species

⑤ a war where wider vision means better chances to catch prey

 

 

[주제] 생존 게임: 시각을 통한 숨바꼭질

 

 

 

[정답]

 

[해석]

많은 물고기들은 생체 발광이라고 불리는 생물학적인 불꽃놀이로 자체의 빛을 생성한다. 랜턴피시는 헤드라이트처럼 바다를 싹 비추는 빛줄기를 만들어 낸다. 드래곤피시는 자신만이 볼 수 있는 파장을 생산해서 다가오는 위협을 먹잇감들이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대조적으로 앵글러피시는 먹이가 자의 막대 모양의 생체 발광 수염을 알아채고 그것에 유인되기를 바라는데, 그것(앵글러피시)의 사나운 턱이 그림자에 감춰져 있다. 생체 발광은 또한 포식자들을 좌절시키는 데 사용된다. 스푸크피시과(科)의 한 종은 식사거리가 되는 것으로부터 그것을 지켜주는 배에 가득 찬 공생하는 빛나는 박테리아에 의존한다. 그것은 폭격기를 보기 어렵게 만들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국 해군에 의해 개발된 동일한 발상을 사용한다. Yehudi 프로젝트가 날개 아랫면에 환한 조명이 있는 비행기를 설계한 것처럼, 그 물고기의 빛나는 복부는 태양 빛에 대비되는 자신의 실루엣을 감춰서 아래에서 주시하는 눈들로부터 그것을 숨긴다. 물고기가 물고기를 잡아먹는 이 세상에서 생존은 시각을 우선시하는 숨바꼭질 게임이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he human race traces back to a surprisingly small number of common ancestors. It has been documented that the entire human race can be traced back to only seven different mothers, and one of these women is a common ancestor to roughly 40% of the human species. Why is this? The simple answer is that humans are extremely good at dying and at wiping each other out. ① History has had many successful rulers and conquerors who have got rid of entire populations, and even beyond that, our species has wiped out plenty of similar humanoid lines that existed on thisearth. ② Scientific finds have so far discovered a number of other humanoid species that once shared the earth with us, some of which include Neanderthals and Denisovans. ③ There are still no clear examples of Neanderthals attempting to expressively symbolize real­life elements such as animals or people in creative works. ④ Yet of these lines, only homo sapiens have survived, only the modern humans. ⑤ That itself shows how difficult it is for a species to survive and thrive long­term on this planet.    * humanoid: 인간에 가까운

 

[주제] 인류 진화와 생존의 특징

 

 

 

[정답]

 

[해석]

 

인류는 놀랄 만큼 적은 수의 공통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체 인류가 단 7명의 다른 어머니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이 여성들 중 한 명은 대략 인간 종의 40%의 공통 조상이라고 밝혀졌다.

이것은 왜일까? 간단한 답은 인간이 죽는 것과 서로를 몰살하는 것에 몹시 능숙하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전체 인구를 제거한 많은 성공적인 통치자들과 정복자들이 존재해 왔으며, 심지어 그것을 넘어 우리 종은 이 지구에 존재했던 수많은 비슷한 인간에 가까운 계통들을 몰살해 왔다. 과학적 발견들은 지금까지 한때 우리와 지구를 공유했던 많은 인간에 가까운 종들을 발견해 왔는데, 그들 중 몇몇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을 포함한다. (네안데르탈인이 동물이나 사람과 같은 실재의 요소들을 창의적인 작품에 표현적으로 상징화하려고 시도한 명백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 그러나 이 계통들 중에서 오직 호모사피엔스, 즉 현대의 인간들만이 살아남았다. 그 자체가 한 종이 이 행성에서 살아남아 장기적으로 번영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 준다.

 

 

스승의 날이 5월 15일인 이유! 아시나요? (feat. 스승의 은혜 노래)

곧 스승의 날입니다.  여러분의 삶에 있어 큰 영향을 줬던 스승이 계신가요?오늘은 스승의 날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스승의 날은 왜 5월 15일인지, 스승의 은혜 노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englishforest07.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