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5월 모의고사

2024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4번, 29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4번, 29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viewed from space, one of the Earth’s most commanding features is the blueness of its vast oceans. Small amounts of water do not indicate the color of these large bodies of water; when pure drinking water is examined in a glass, it appears clear and colorless. Apparently a relatively large volume of water is required to reveal the blue color. Why is this so? When light penetrates water, it experiences both absorption and scattering.

Water molecules strongly absorb infrared and, to a lesser degree, red light. At the same time, water molecules are small enough to scatter shorter wavelengths, giving water its blue­green color. The amount of long­wavelength absorption is a function of depth; the deeper the water, the more red light is absorbed. At a depth of 15m, the intensity of red light drops to 25% of its original value and falls to zero beyond a depth of 30m. Any object viewed at this depth is seen in a blue­green light. For this reason, red inhabitants of the sea, such as lobsters and crabs, appear black to divers not carrying a lamp.

* penetrate: 관통하다 ** infrared: 적외선

① We Should Go Green with the Ocean Exploration

② Various Tones of Water Our Deceptive Eyes Show Us

③ How Deep­Sea Microorganisms Affect the Ocean’s Color

④ Why So Blue: The Science Behind the Color of Earth’s Oceans

⑤ The Bigger Volume Water Has, the Lower Temperature It Gets

 

 

 

[주제]  바다가 파란색이 지배적인 이유, 빛이 물을 관통할 때의 특성

 

[정답]

 

[해석]

우주에서 보았을 때 지구의 가장 인상적인 특징들 중 하나는 드넓은 바다의 푸르름이다. 적은 양의 물은 이러한 많은 양의 물의 색을 나타내지 않고, 깨끗한 식수가 유리잔 속에서 검사될 때 그것은 맑고 무색인 것처럼 보인다. 파란색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분명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이것은 왜 그런 것일까? 빛이 물을 관통할 때 그것은 흡수와 산란 둘 다를 겪는다. 물 분자는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고 더 적은 정도로 붉은빛을 흡수한다. 동시에 물 분자는 더 짧은 파장을 산란시키기에 충분히 작아서 물에 청록색을 부여한다. 장파장 흡수의 양은 수심의 작용이다. 즉, 물이 더 깊을수록 더 많은 붉은빛이 흡수된다. 15미터 수심에서는 붉은빛의 강도가 기존 값의 25%로 떨어지고 30미터 이상의 수심에서는 0으로 떨어진다. 이 수심에서 보이는 모든 물체는 청록빛 내에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바닷가재와 게와 같은 바다의 붉은색 서식 동물들은 램프를 들고 있지 않은 잠수부들에게는 검게 보인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When a new pathogen emerges, one way it transitions from wherever it has been living into a new host may be the acquisition of new traits. Imagine that in ① its hourly struggle to survive over long periods of time and many generations, a fungus species might acquire a protective capsule ― a bit of coating ―that shields it or even masks it from other microbes or cells. Then it acquires some enzymes that enable it to survive ②whatever chemicals other microbes might throw at it. If it can overcome these chemicals, it may also overcome the same or similar chemicals ③used as antifungal drugs. Maybe it also evolves to tolerate warmer temperatures. Now we’ve got a yeast that once made its home in an apple tree or in a wetland but ④ that at this point can live quite happily in our body, hide from our immune system, and disarm our drugs. Then some of us carry it from one country to another and then another, and eventually it finds a host in a hospital patient who has recently received an organ transplant or ⑤are elderly with a weakened immune system.

* pathogen: 병원균 ** enzyme: 효소 *** yeast: 효모

 

[주제] 새로운 병원균의 출현과 감염을 일으키는 과정

 

[정답] 단수 동사 is가 적절하다.

 

[해석]

새로운 병원균이 출현할 때, 어디였든지 간에 그것이 살고 있던 곳으로부터 새로운 숙주로 전이하는 한 가지 방법은 새로운 특성의 습득일 수 있다.

오랜 기간과 많은 세대를 거쳐 살아남기 위한 그것(균류종)의 매시간의 분투에서 균류종이 자신을 보호하거나 심지어 다른 미생물이나 세포로부터 자신을 숨기는 약간의 코팅인 보호용 피막을 얻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상상해 보라. 그다음에 그것은 다른 미생물들이 그것에게 던지는 그 어떤 화학 물질로부터도 그것이 살아남게 해 주는 어떤 효소들을 얻는다. 만약 그것이 이러한 화학 물질들을 이겨낼 수 있다면, 그것은 항진균제로써 사용되는 똑같거나 비슷한 화학 물질들 또한 이겨낼 수 있다. 아마도 그것은 또한 더 따뜻한 온도를 견디도록 진화한다. 이제 우리는 한때 사과나무나 습지에 서식지를 만들었지만 이 시점에서는 우리의 몸속에서 꽤 행복하게 살고, 우리의 면역 체계로부터 숨고, 우리의 약을 무장 해제시킬 수 있는 효모를 갖게 되었다. 그러고 나서 우리 중 일부가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 그리고 또 다른 나라로 그것을 옮기고 결국 그것은 장기 이식을 최근에 받았거나 약해진 면역 체계를 가진 노인인 병원 환자에서 숙주를 찾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