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5월 모의고사

2024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2번, 33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2번, 33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John Douglas Pettigrew,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found that the brain manages the external world by dividing it into separate regions, the peripersonal and the extrapersonal ― basically, near and far. Peripersonal space includes whatever is in arm’s reach; things you can control right now by using your hands. This is the world of what’s real, right now. Extrapersonal space refers to everything else ― whatever you can’t touch unless you move beyond your arm’s reach, whether it’s three feet or three million miles away. This is the realm of possibility. With those definitions in place, another fact follows, obvious but useful: any interaction in the extrapersonal space must occur in the future. Or, to put it another way,                                     . For instance, if you’re in the mood for a peach, but the closest one is sitting in a bin at the corner market, you can’t enjoy it now. You can only enjoy it in the future, after you go get it.

① distance is linked to time

② the past is out of your reach

③ what is going to happen happens

④ time doesn’t flow in one direction

⑤ our brain is attracted to near objects

 

 

 

[주제] 거리와 시간 간의 관련성

 

[정답]

 

[해석]

Queensland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John Douglas Pettigrew는 뇌가 그것(외부 세계)을 ‘주변의’와 ‘외부의’, 요컨대 ‘가깝다’와 ‘멀다’라는 별개의 부분들로 나눔으로써 외부 세계를 다룬다는 것을 알아냈다. 주변 공간은 팔이 닿는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것, 즉 여러분의 손을 사용함으로써 당장 여러분이 통제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지금 당장 실제의 세계이다. 외부 공간은 그 외 모든 것을 가리키는데, 즉 3피트든 3백만 마일 밖이든 여러분이 자신의 팔이 닿는 범위를 넘어서서 움직이지 않으면 만질 수 없는 모든 것이다. 이것은 가능성의 영역이다. 그러한 정의들이 자리 잡힌 상태에서 뻔하지만 유용한 또 하나의 사실이 따라온다. 즉, 외부 공간에서의 모든 상호 작용은 미래에 일어나야만 한다는 것이다. 또는, 달리 말하면, 거리는 시간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여러분이 복숭아를 원하지만 가장 가까운 것이 모퉁이 가게의 상자에 있다면, 여러분은 지금 그것을 즐길 수 없다. 여러분은 오직 미래에 즉 그것을 사러 간 후에 즐길 수 있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sect­eating plants’ unique strategies for catching live prey have long captured the public imagination. But even within this strange group, in which food­trapping mechanisms have evolved multiple times independently, some unusual ones stand out. According to Ulrike Bauer, an evolutionary biologist, the visually striking pitcher plant Nepenthes gracilis, for example, can                                             .

This species’ pitcher has a rigid, horizontal lid with an exposed underside that produces nectar, luring insects to land on it. When a raindrop strikes the lid’s top, the lid jolts downward and throws any unsuspecting visitor into digestive juices below. Researchers used x­ray scans to analyze cross sections of the pitchers when the lid is raised, lowered, and in a neutral position. Their results revealed a structural weak point in the pitcher’s neck: when a raindrop hits the lid, the weak spot folds in and forces the lid to quickly move downward, similar to a diving board. The weak point makes the pitcher’s body bend and bounce back in a specific, consistent way, so the lid rises back up without bouncing too far ― unlike a typical leaf’s chaotic vibration when struck by rain. [3점]

* pitcher: 주머니 모양의 잎 ** nectar: (식물의) 꿀  *** jolt: 덜컹거리다, 흔들리다

① exploit external energy for a purpose

② hide itself with help of the environment

③ coordinate with other plants to trap insects

④ change its shape to absorb more rain water

⑤ modify its hunting strategy on a regular basis

 

[주제] 식충식물 'Nepenthes gracilis'의 독특한 전략

 

[정답]

 

[해석]

식충 식물의 살아 있는 먹이를 잡기 위한 독특한 전략들은 오랫동안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아 왔다. 그러나 심지어 먹이를 가두는 기제가 여러 번 독립적으로 진화해 온 이 이상한 무리 안에서조차 몇몇 특이한 것들이 두드러진다. 진화 생물학자인 Ulrike Bauer에 따르면 예를 들어 시각적으로 인상적인 낭상엽 식물인 ‘Nepenthes gracilis’는 어떤 목 적을 위해 외부의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종의 주머니 모양의 잎은 꿀을 생산하는 노출된 아랫면을 지닌 단단하고 수평으로 된 뚜껑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곤충들이 그 면에 앉도록 유혹한다. 빗방울이 뚜껑의 윗면을 칠 때, 뚜껑은 아래쪽으로 흔들려서 의심하지 않고 있는 어떤 방문객도 아래의 소화액으로 떨구어 버린다. 연구원들은 뚜껑이 올려질 때, 내려질 때 그리고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주머니 모양의 잎의 단면을 분석하기 위해 엑스선 정밀 검사를 사용했다. 그것의 결과는 주머니 모양의 잎의 목 부 분에서 구조상의 약한 부분을 밝혀냈다. 즉 빗방울이 뚜껑을 칠 때 그 약한 지점은 안으로 접히고, 뚜껑이 아래로 빠르게 움직이도록 만드는데, 그것은 다이빙 보드와 비슷하다. 그 약한 부분은 주머니 모양의 잎의 몸통을 휘었다가 특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튀어서 되돌아오도록 해서, 비에 맞을 때 보통의 잎의 무질서한 흔들림과 달리 그 뚜껑은 너무 멀리 튀지 않고 다시 올라온다.

 

 

 

 

[EBS 입시 꿀팁!] 지금 고3은 꼭 보세요! 2025학년도 수능 대비 영어 공부법

수능 D-297입니다. 오늘은 곧 고3이 될 학생들의 수능 대비 영어 공부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4학년도 수능- EBS 연계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https://englishforest07.tis

englishforest07.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