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교재 아카이브/2026 수능특강 영어

2026 수능특강 영어 13강 문제 분석 및 해석, 정답 확인하기 (2)

반응형

2026 수능특강 영어 13강 문제 분석 및 해석, 정답 (2)입니다.

2026 수능특강 영어 13강 문제 분석 및 해석 (내신 영어의 숲)

 

 

목차 
1. 13강 2번
2. 13강 3번 
3. 13강 4번

 

 

 

 

 

 

 

 1. 13강 2번 문제

 

2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t a certain age — nine, ten, eleven, we were all there once — most of us are capable of the kind of                             it takes to master some single, obscure skill that we've decided is central to our identity. Maybe it's drawing a horse, or copying a guitar solo, or dribbling a basketball behind our back. Maybe it's an ollie, that elementary skateboarding move, a kind of standing jump where the feet never leave the board. We don't need a manual to tell us what to do, and we just do it. Repeatedly. Head-down, nose-to-the-grindstone, just like we've been told. A belief in repetition is in the cultural water supply, in every how-to-succeed manual and handbook, every sports and business autobiography. There's a reason that coaches, music instructors, and math teachers often run their students through drills, followed by more drills: Perform one hundred A-minor scales (or free throws, or toe kicks) in an afternoon and you will see progress. Do another two hundred and you'll see more still.

* obscure: 이해하기 어려운** nose-to-the-grindstone: 쉬지 않고 악착같이 *** minor scale: 단계

 

① blind devotion

② creative thinking

③ deliberate breaks

④mastering a manual

⑤ effective cooperation

 

[정답]

 

[소재] 맹목적인 전념의 역할

어린 시절의 집념과 반복 연습의 가치
어린 시절 우리는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특정 기술에 완전히 몰입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9-11세 무렵, 대부분의 아이들은 말 그림 그리기, 기타 솔로 따라하기, 농구 드리블 같은 특정 기술을 반복적으로 연습합니다. 이런 집중적 반복 연습은 성공 매뉴얼, 스포츠 및 비즈니스 자서전 등 우리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코치, 음악 교사, 수학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계속된 훈련을 강조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100번의 연습 후에는 발전이 보이고, 200번 더 하면 더 큰 진전이 있습니다.

 

[해석]

어떤 나이, 우리 모두가 한때 그 나이였던 아홉 살, 열 살, 열한 살 때에, 우리 대부분은 우리가 우리 정체성의 핵심이라고 정한 어떤 이해하기 어려운 기술 하나를 완벽히 익히는 데 필요한 일종의 맹목적인 전념을 실행할 능력이 있다. 어쩌면 그것이 말 그리기일 수도 있고, 기타 솔로 연주 따라 하기일 수도 있고, 농구공을 자신의 등 뒤에서 드리블하는 것일 수도 있다. 어쩌면 그것은 스케이트보드의 기본 동작인 알리, 즉 발이 보드에서 절대 떨어지지 않는 일종의 스탠딩 점프일 수도 있다.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려 주는 매뉴얼도 필요 없이 우리는 그저 그것을 한다. 반복적으로. 고개를 숙인 채, 쉬지 않고 악착같이, 마치 우리가 명령받은 것처럼 말이다. 반복에 대한 믿음은 문화적 급수에, 모든 성공 매뉴얼과 안내서에, 모든 스포츠 및 비즈니스 자서전에 있다. 코치, 음악 강사, 수학 교사가 흔히 학생들에게 연습을 시키고, 이어서 더 많은 연습을 시키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데, 오후 한나절에 A 단계(또는 자유투 또는 토 킥)를 백 번 연습하면 여러분은 향상을 보게 될 거라는 것이다. 다시 이백 번을 더 하면 훨씬 더 많은 진전을 보게 될 것이다.

 

[Solution Guide]
이 글의 중심 생각은 반복적으로 전념하여 연습하면 모호한 기술도 완벽히 익힐 수 있게 된다는 것으로, 이 관점은 반복 연습을 통한 여러 가지 스포츠나 음악 연주의 기술 습득이라는 예로 뒷받침 되고 있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이다.

 

 

 

 

 

 

 

 

 2. 13강 3번 문제

 

3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Designers do not merely solve the problems people face today, they also create new meanings, a process also known as design-driven innovation. Innovative value creation is based on more fundamental insights about people and society, and is often enabled by advancements in technology. Consider, for example, the mobile phone. In a classic Dutch television program, people on the street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like to have a device that would allow them to make phone calls 24/7 from wherever they were. The typical response was that such a device would not offer any added value and that its use would be totally superfluous. That program was made in 1999 and now, 20 years later, we can simply not imagine a world without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Design-driven innovation is about translating user insights into propositions - new meanings - that people love, but                                      .    * superfluous: 불필요한

 

① were not able to gain access to

② never knew they wanted or needed

③ never became skilled in interpreting

④ didn't remember they had already considered

⑤ couldn't comprehend because of their complexity

 

[정답]

 

[소재] 디자인 주도 혁신의 의미

 

디자인 주도 혁신: 새로운 의미 창출의 가치
디자인은 단순히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합니다. 이러한 '디자인 주도 혁신'은 사람과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통찰력을 바탕으로 하며, 종종 기술 발전에 의해 가능해집니다.

디자인 주도 혁신의 핵심 요소
모바일폰의 사례는 이를 완벽히 보여줍니다. 1999년 네덜란드 TV 프로그램에서 사람들은 24시간 어디서나 전화할 수 있는 기기의 필요성을 부정했습니다. 그러나 20년 후인 지금, 우리는 휴대용 통신 기기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혁신적 가치 창출의 의미
디자인 주도 혁신은 사용자 통찰력을 사람들이 원하게 될 새로운 의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스스로도 원하거나 필요하다고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사랑하게 만드는 제안을 창출합니다.
디자인은 단순한 문제 해결을 넘어 미래의 필요와 가치를 예측하고 창조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진정한 혁신은 사람들이 아직 표현하지 못한 필요를 이해하고 그것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데서 비롯됩니다.

 

 

[해석]

디자이너는 오늘날 사람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그저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기도 하는데, 이는 디자인 주도 혁신이라고도 알려진 과정이다. 혁신적인 가치 창출은 사람과 사회에 관한 더 근본적인 통찰력에 기반을 두며, 흔히 기술 발전에 의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를 생각해 보라.

네덜란드의 한 대표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길거리의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있는 어디서나 일주일 내내 하루 24시간 동안 전 화를 걸 수 있게 해 주는 기기를 갖고 싶은지 물었다. 일반적인 대답은 그러한 기기는 어떤 부가 가치도 제공하지 않을 것이며,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불필요하리라는 것이었다. 그 프로 그램은 1999년에 만들어졌는데, 2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휴대용 통신 기기가 없는 세상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 디자인 주도 혁신은 사용자 통찰을 사람들이 좋아는하나 자신들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줄을 절대 몰랐던 것, 즉 새로운 의미로 바꾸는 것과 관련된다.

 

[Solution Guide]
디자이너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문제의 해결을 넘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사람이며, 혁신적인 가치 창출은 사람과 사회에 관한 더 근본적인 통찰력에 기반을 둔다는 것이 글의 중심 내용이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휴대 전화가 완전히 불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 우리는 그것이 없는 세상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고 했으므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이다.

 

 

 

 

 3. 13강 4번 문제

 

4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rough the ups and downs of our lives at school and at work, the reassuring stability of                                can help us manage our moods and emotions. When we engage in such "environmental self-regulation," we rely on cues outside ourselves to maintain the kind of equilibrium inside ourselves that facilitates the pursuit of our goals. In a study of mid-level professionals, Gregory Laurence, a professor of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Flint, found that incorporating personal items into their workspaces helped them relieve the "emotional exhaustion" brought on by a stressful job.

Especially for employees whose office settings did not afford much privacy, being able to personalize their work area - with photographs, posters, comic strips, mugs - helped them "carve out their own space, inscribe it with personal meaning, and thus create a kind of sanctuary at work," write Laurence and his coauthors.

* equilibrium: (마음의) 평정 1** inscribe: 새기다 *** sanctuary: 안식처

 

① an unexpected encounter

② relaxing and calming music

③ meaningful material objects

④ keeping things neat and organized

⑤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leaks

 

[정답]

 

[소재] 개인화된 업무 공간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환경적 자기 조절: 개인 물건이 감정 안정에 미치는 영향
의미 있는 물건들은 학교와 직장에서 우리의 기분과 감정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환경적 자기 조절"을 통해 우리는 내면의 균형을 유지하고 목표를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습니다.

직장에서의 개인 공간 맞춤화의 중요성
미시간 대학교-플린트의 그레고리 로렌스 교수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개인 물건으로 업무 공간을 꾸미는 것은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에서 오는 "감정적 소진"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개인화된 공간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
특히 사무실 환경에서 프라이버시가 부족한 직원들에게, 사진, 포스터, 만화, 머그컵 등으로 작업 공간을 개인화하는 것은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고 개인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직장 내 안식처를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작업 환경을 개인화하는 것은 단순한 장식이 아닌, 심리적 안정감과 정서적 웰빙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이는 스트레스 관리와 직장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석]

학교와 직장에서의 삶의 기복을 겪는 내내, 의미 있는 물건의 걱정을 없애 주는 안정감은 우리가 기분과 감정을 관리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 자기 조절'을 할 때, 우리는 목표 추구를 촉진하는 자기 '내부의' 그러한 평정을 유지하기 위해 자기 외부의' 신호에 의존한다. 중간급 전문가에 대한 연구에서, Michigan-Flint 대학교의 경영학 교수인 Gregory Laurence 는 자신의 업무 공간에 개인 물품을 포함하는 것이 그들이 스트레스가 많은 일로 인해 야기되는 '정서적 고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사무실 환경이 사생활 보호를 별로 제공하지 않는 직원들에게, 사진, 포스터, 만화, 머그컵 등으로 업무 공간을 개인의 필요에 맞출 수 있는 것이 그들로 하여 금 '자기 자신만의 공간을 개척하고, 그것을 개인적인 의미로 새 겨, 직장에 일종의 안식처를 만들도록 도왔다고 Laurence와 그 의 공동 저자들은 기술한다.

 

[Solution Guide]
개인 물품을 업무 공간에 포함하는 것이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적 고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면서 그 구체적 예로 사진, 포스터, 만화, 머그컵 등을 언급했으므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③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