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8~39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목차
1. 38번 문제
2. 39번 문제
1. 38번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
Knowledge is information that has demonstrated its usefulnes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although science is a rulebased procedure, it is very much a creative process. (①) A conjecture is a philosophical invention, cooked up rather mystically by the mind through the mental computation we call careful contemplation. (②) However, until the hypothesis is tested against reality, it is not yet truly knowledge; it is just information that represents speculation. (③) It is what is left over after cycles of experimental testing have eliminated false theories. (④) As scientists continually test their hypotheses and modify their models to account for new and surprising data, a kind of “learning loop” emerges that statisticians call Bayesian updating. (⑤) Based on Bayes’ Rule, developed by eighteenth century English statistician and philosopher Thomas Bayes, Bayesian updating refers to a mathematical process whereby an accepted theory or predictive model gets increasingly accurate through the repetitive testing of competing variants of that theory. [3점] *conjecture: 추론 **contemplation: 숙고 ***speculation: 추측
[해석]
비록 과학은 규칙에 기반한 절차이지만, 매우 창의적인 과정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론은 철학적 발명으로, 우리가 신중한 숙고라 부르는 머릿속 계산을 거쳐 사고를 통해 다소 신비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가설이 현실에 비추어 검증되기 전에는, 그것은 아직 진정한 지식이 아니며, 그것은 단지 추측을 나타내는 정보에 불과하다. 지식은 자신의 유용성 을 입증한 정보이다. 그것(지식)은 수차례의 실험적 검증을 통해 잘못된 이론들을 제거한 후 남은 것이다. 과학자들이 끊임없이 가설을 검증하고 새롭고 놀라운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그들의 모델을 수정함에 따라, 통계학자들이 ‘베이지안 업데이팅’이라고 부르는 일종의 ‘학습 루프’가 나타난다. 18세기 영국의 통계학 자이자 철학자였던 Thomas Bayes가 개발한 베이즈 정리에 기초하여, 베이지안 업데이팅은 수용된 이론이나 예측 모델이 그 이론의 다양한 변형을 반복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점점 더 정확해지는 수학적 과정을 일컫는다.
[내용정리]
과학적 지식 형성과 베이지안 업데이팅의 원리
과학의 창의적 본질
과학은 규칙과 절차에 기반하지만, 본질적으로 매우 창의적인 과정입니다. 철학적 발명인 추론은 신중한 숙고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고의 산물입니다.
가설과 지식의 차이
가설은 현실에 비추어 검증되기 전까지는 단순한 추측에 불과합니다. 반면, 지식은 그 유용성이 입증된 정보로, 여러 실험적 검증을 통해 잘못된 이론들이 제거된 후 남은 것입니다.
과학적 학습 루프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가설을 검증하고 새로운 데이터에 맞게 모델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학습 루프'가 형성됩니다. 이는 통계학에서 '베이지안 업데이팅'이라고 부릅니다.
베이지안 업데이팅의 개념
18세기 영국의 통계학자이자 철학자 Thomas Bayes가 개발한 베이즈 정리에 기초한 베이지안 업데이팅은 이론이나 예측 모델이 반복적인 검증을 통해 점점 더 정확해지는 수학적 과정을 의미합니다.
과학적 방법론의 중요성
이러한 지식 형성 과정은 과학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론이 단순한 가설에서 검증된 지식으로 발전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cook up 만들다 mystically 신비롭게 computation 계산 hypothesis 가설 eliminate 제거하다 modify 수정하다 emerge 나타나다 statistician 통계학자
[정답] ③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6번~37번 문제 및 해석 바로 확인하기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6번~37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1. 36번 문제 [36 ~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 을 고르시오.36.The governments of virtually every country on the planet att
englishforest07.tistory.com
2. 39번 문제
39.
For example, we do not have a term in ordinary language that describes a memory that is not necessarily a memory of something the person having it has experienced.
As a general rule, it’s better if your definition corresponds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way in which the term is ordinarily used in the kinds of debates to which your claims are pertinent. (①) There will be, however, occasions where it is appropriate, even necessary, to coin special uses through what philosophers call stimulative definition. (②) This would be the case where the current lexicon is not able to make distinctions that you think are philosophically important. (③) Such a thing would occur, for example, if I could somehow share your memories: I would have a memorytype experience, but this would not be of something that I had actually experienced. (④) To call this a memory would be misleading. (⑤) For this reason, philosophers have coined the special term ‘quasimemory’ to refer to these hypothetical memorylike experiences. [3점] *pertinent: 관련 있는
[해석]
일반적으로, 당신의 (용어) 정의가 자신의 주장과 관련 있는 종류의 논의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가능한 비슷하게 일치하면 더 좋다. 그러나, 철학자들이 ‘자극하는 정의’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특별한 용법’을 만드는 것이 적절하고, 심지어 필요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현재의 어휘로는 당신이 철학적으로 중 요하다고 생각하는 구분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그것(기억)을 가진 사람이 경험한 무언가에 대한 기억이, 반드시 (경험한) 기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용어는 일반 언어에 없다. 예를 들어, 내가 어떻게든 당신의 기억을 공유할 수 있다면 그러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즉, 나는 기억 유형의 경험을 갖고 있지만, 이것이 내가 실제로 경험했던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이것을 기억이라고 부르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철학자들은 기억과 유사한 이러한 가상의 경험을 지칭하기 위해 ‘유사 기억’이라는 특별한 용어를 만들어 냈다.
[ebsi 고등] EBS 2026 수능개념 영어 수강하러가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6학년도 수능대비를 위한 EBS 책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2026 수능개념 책소개수능 개념 부터 탄탄하게, 문제 풀이까지 완벽하게!〈수능개념〉은 EBS 대표 연계
englishforest07.tistory.com
[내용정리]
철학적 용어 정의와 '자극하는 정의'의 필요성
용어 정의의 기본 원칙
일반적으로 학술적 논의에서는 기존에 통용되는 방식과 일치하는 용어 정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논의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극하는 정의'의 역할
철학에서는 때로 '자극하는 정의'를 통해 특별한 용법을 창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어휘로는 표현할 수 없는 철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적 구분을 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유사 기억'의 사례
좋은 예시로 '유사 기억'이라는 철학적 용어가 있습니다. 일반 언어에는 실제로 경험하지 않았지만 기억처럼 느껴지는 경험을 설명하는 단어가 없습니다. 만약 어떤 방식으로 타인의 기억을 공유받을 수 있다면, 그것은 기억과 유사하지만 실제로 본인이 경험한 것이 아닙니다.
철학적 용어 창조의 가치
이러한 특수한 용어 창조는 미묘한 개념적 차이를 명확히 하고, 철학적 논의를 더 정밀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단순한 언어적 발명을 넘어 사고의 정확성과 깊이를 향상시키는 도구가 됩니다.
철학적 용어의 목적
철학에서 새로운 용어 정의는 혼란을 피하고 개념적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를 통해 더 정교한 철학적 탐구가 가능해집니다.
occasion 경우 appropriate 적절한 coin 만들다 stimulative 자극하는 distinction 구분 misleading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답] ③
'모의고사 아카이브 > 25년 고2 3월 모의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6번~37번 문제 및 해석 바로 확인하기 (0) | 2025.04.28 |
---|---|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1번~35번 문제 및 해석 바로 확인하기 (0) | 2025.04.24 |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30번 문제 및 해석 바로 확인하기 (0) | 2025.04.12 |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24번, 29번 문제 및 해석 바로 확인하기 (0) | 2025.04.11 |
2025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 22번, 23번 문제 및 해석 바로 확인하기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