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10월 모의고사

2024년 10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6번, 37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10월 고3 영어 모의고사 36번, 37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2024년 10월 고3 영어 모의고사 - 내신 영어의 숲

 

36번.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From infancy, even before we learn to speak, we absorb how to infer people’s emotions from their behaviors.

 

(A) Some people, however, have a talent for detecting emotions, even when they’re unspoken. We all know people like this: Friends who seem to intuit when we’re feeling down, even if we haven’t said anything; managers who sense when a kind word is needed to help us get over the hump at work.

(B) As we grow older, however, this capacity can atrophy. We start to pay increasing attention to what people say rather than what they do, to the point where we can fail to notice nonlinguistic clues. Spoken language is so information rich that it lulls us into ignoring hints that someone might be, say, upset and instead focus on their words when they say, It’s nothing. I feel fine.

(C) It’s natural to assume these people are unusually observant, or uncommonly sensitive. Sometimes they are. But years of research indicates this is a skill anyone can develop. We can learn to identify the nonverbal clues that indicate someone’s true emotions and use these hints to understand what they are feeling. * over the hump: 고비를 넘겨 ** atrophy: 쇠퇴하다 *** lull ~ into: ~을 (속이어) …하게 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주제]

developing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interpret nonverbal cues to understand people's emotions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 비언어적 단서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능력

 

[해석]

유아기부터, 심지어 우리가 말하는 것을 배우기 전에, 우리는 어떻게 사람들의 감정들을 그들의 행동으로부터 추론하는지를 흡수한다.

(B) 하지만, 우리가 나이가 들면서 이 능력은 쇠퇴할 수 있다. 우리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보다 무엇을 말하는지에 점점 더 느는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하여, 비언어적인 단서들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정도에 이른다. 구어는 정보가 매우 풍부해서 그것은 누군가가, 예를 들어, 화가 났을 수 있다는 힌트들을 우리가 무시하게 하고 그들이 ‘아무것도 아니야. 나는 괜찮아.’라고 말할 때 그들의 말에 대신 집중한다.

(A)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심지어 그것들이 입 밖에 내어지지 않을 때도 감정들을 감지하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 모두는 이와 같은 사람들(우리가 어떤 것도 말하지 않았더라도 우리가 마음이 울적한 때를 직관으로 아는 것처럼 보이는 친구들, 우리가 직장에서 고비를 넘기는 것을 돕기 위해 친절한 말이 필요한 때를 감지하는 매니저들)을 안다.

(C) 이러한 사람들이 대단히 관찰력이 있거나, 굉장히 세심하다고 추측하는 것은 당연하다. 때때로 그들은 그러하다. 하지만 수년간의 연구는 이것이 누구나 계발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우리는 누군가의 진짜 감정들을 보여 주는 비언어적 단서들을 알아보는 것을 배울 수 있고 이 힌트들을 사용하여 그들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37번.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Some epistemic feelings let us know that we know. These include the feeling of knowing, the feeling of certainty, and the feeling of correctness.

 

(A) Other epistemic feelings alert our attention to what we do not yet know. Curiosity, awe, and wonder fall into this category. As with the feelings of knowing, we can ask whether feelings of not­yet­knowing are necessarily right. It does seem that if you wonder at something, there is something that prompted you to wonder.

(B) This feeling alerts you to the fact that your current body of knowledge — the schemas, heuristics, and other information you use — did not prepare you for the thing you wonder at. As such, wonder is a useful emotion, because it points to gaps in what you thought you knew.

(C) For example, you feel sure that “1666”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en did the Great Fire of London occur?” Feeling that you know, even that you are sure, is not unfailing. We can be mistaken in those feelings. [3점]

* epistemic: 인식론적 ** heuristics: 휴리스틱(특정 상황에서 사람들이신속하게 사용하는 어림짐작의 기술)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주제]

epistemological feelings and their role in recognizing what we know and do not know

인식론적 감정과 우리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인식하는 역할

 

[해석]

어떤 인식론적 느낌들은 우리에게 우리가 안다는 것을 알게 한다. 이것들은 안다는 느낌, 확신의 느낌, 그리고 정확함의 느낌을 포함한다.

(C) 예를 들어, 여러분은 “런던 대화재는 언제 발생했습니까?”라는 질문에 ‘1666년’이 답이라고 확신한다. 여러분이 안다고, 심지어 확신한다고, 느끼는 것이 언제나 변함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그런 느낌들에서 잘못 알고 있을 수 있다.

(A) 다른 인식론적 느낌들은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것에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호기심, 경외감, 그리고 놀라움이 이 범주에 속한다. 안다는 느낌들에서 그렇듯이 우리는 아직 알지 못한다는 느낌들이 반드시 맞는지 물을 수 있다. 여러분이 무언가를 궁금해한다면 여러분을 궁금해하게 한 무언가가 정말로 있는 것처럼 보인다.

(B) 이 느낌은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현재 지식 체계, 즉 스키마, 휴리스틱, 그리고 여러분이 사용하는 다른 정보가 여러분이 궁금해하는 것에 대해 여러분을 준비시키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처럼 놀라움은 유용한 감정인데 그것은 여러분이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것에 빈 곳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