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4년 고3 10월 모의고사

2024년 10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2번, 23번 문제 및 해석

반응형

2024년 10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2번, 23번 문제 및 해석입니다.

 

 

2024년 10월 고3 영어 모의고사 - 내신 영어의 숲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Technical, book knowledge consists of “formulated rules which are, or may be, deliberately learned.” Practic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cannot be taught or learned but only transmitted and acquired. It exists only in practice. When we talk about practical knowledge, we tend to use bodily metaphors. We say that somebody has a touch for doing some activity — an ability to hit the right piano key with just enough force and pace. We say that somebody has a feel for the game, an intuition for how events are going to unfold, an awareness of when you should plow ahead with a problem and when you should put it aside before coming back to it. When the expert is using her practical knowledge, she isn’t thinking more; she is thinking less. She has built up a repertoire of skills through habit and has thereby extended the number of tasks she can perform without conscious awareness. This sort of knowledge is built up through experience, and it is passed along through shared experience. * intuition: 직감, 직관 ** plow ahead: 밀고 나가다

 

실용적 지식은 실행과 경험을 통해 체득되고 전수된다.

② 직감에 의한 판단이 옳아 보여도 심사숙고의 과정은 필요하다.

③ 기술적 지식을 완전히 이해해야만 이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다.

④ 상황에 맞게 행동하게 하는 실용적 지식은 타고나는 능력이다.

⑤ 실용적 지식과 기술적 지식의 균형 있는 학습이 중요하다.

 

[해석] 

기술적,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의도적으로 배우거나, 그럴 수도 있는, 체계적으로 표현된 규칙들’ 로 구성된다. 반면에 실용적 지식은 가르쳐지거나 배울 수 없으며 오직 전해지고 습득된다. 그것은 오직 실행 속에서만 존재한다. 우리가 실용적 지식에 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신체적 비유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누군가가 어떤 활동을 하기 위한 ‘솜씨’, 딱 필요한 만큼의 힘과 속도로 정확한 피아노 건반을 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누군가가 게임에 대한 ‘감각’, 어떻게 사건들이 전개될지에 대한 직감, 여러분이 문제를 밀고 나가야 할 때와 그것으로 되돌아오기 전까지 제쳐 두어야 할 때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전문가가 자신의 실용적 지식을 사용하고 있을 때, 그녀는 더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그녀는 덜 생각한다. 그녀는 습관을 통해 기술의 레퍼토리를 쌓아 왔고, 그렇게 함으로써 의식적 인식 없이 그녀가 수행할 수 있는 과제의 수를 늘려 왔다. 이러한 종류의 지식은 경험을 통해 쌓이고, 그것은 공유된 경험을 통해 다음으로 전달된다.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human desire to make pictures is deeply rooted. At least 64,000 years ago, Neanderthals used colored oxide and charcoal to make paintings of large wild animals, tracings of human hands, and abstract patterns on cave and rock walls. Today, people create images with a multitude of mediums, including photography. What drives this picturemaking impulse? Some make pictures for commercial reasons. Others create informational systems or employ scientific imaging tools to visualize the unseen. Artists use images expressionistically, to conceptualize and articulate who they are and how they view the world. However, the fundamental motive for making the vast majority of pictures is a desire to preserve: to document, and therefore honor, specific people, events, and possessions of importance. Regardless of purpose, the making of images persists because words alone cannot always provide a satisfactory way to describe and express our relationship to the world. Pictures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how humans observe, communicate, celebrate, comment, and, most of all, remember. What and how we remember shapes our worldview, and pictures can provide a stimulus to jog one’s memory. * oxide: 산화물 ** impulse: 충동 *** articulate: 분명히 표현하다

 

① factors that influence the art evaluation process

② difference between commercial images and informative pictures

explanation for the human desire of creating images to remember

④ benefits of written records in understanding our ancestors

⑤ change in the value of the same painting across history

 

[해석]

그림을 만드는 인간의 욕망은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적어도 6만 4천년 전에, 네안데르탈인은 색깔이 있는 산화물과 목탄을 사용하여 동굴과 암벽에 커다란 야생 동물의 그림, 사람 손의 모사(模寫), 그리고 추상적인 무늬를 만들었다. 오늘날, 사람들은 사진 촬영을 포함한 다수의 도구로 그림을 만든다. 무엇이 이 그림을 만드는 충동을 이끄는가? 어떤 사람들은 상업적인 이유로 그림을 만든다. 다른 사람들은 정보 체계를 만들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화하기 위해 과학적 이미지화 도구를 사용한다. 예술가들은 그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개념화하고 분명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그림을 표현주의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그림 대부분을 만드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동기는 보존하려는 욕구인데, 기록하고, 그래서 중요성을 지닌 특정 사람들, 사건들, 그리고 소유물을 기념하려는 것이다. 목적과 관계없이, 그림 만드는 것은 지속되는데 말만으로는 세상과 우리의 관계를 설명하고 표현하는 만족할 만한 방법을 항상 제공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림은 인간이 어떻게 관찰하고, 소통하고, 기념하고, 논평하고, 무엇보다도 기억하는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가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기억하느냐가 우리의 세계관을 형성하고 그림은 누군가의 기억을 되살리는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