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 영어 29번 문제 분석 및 변형입니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rends constantly suggest new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restage themselves, representing occasions for change. To understand how trends can ultimately give individuals power and freedom, one must first discuss fashion’s importance as a basis for change. The most common explanation offered by my informants as to why fashion is so appealing is ①that it constitutes a kind of theatrical costumery. Clothes are part of how people present ②them to the world, and fashion locates them in the present, relative to what is happening in society and to fashion’s own history. As a form of expression, fashion contains a host of ambiguities, enabling individuals to recreate the meanings ③associated with specific pieces of clothing. Fashion is among the simplest and cheapest methods of self-expression: clothes can be ④inexpensively purchased while making it easy to convey notions of wealth, intellectual stature, relaxation o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ven if none of these is true. Fashion can also strengthen agency in various ways, ⑤opening up space for action. *stature: 능력
[주제]
Fashion’s Charm as a Basis for Self-expression & Action
(자기표현과 행동을 위한 기반으로서 패션의 매력)
[정답]
② 주어인 people이 자신들을 세상에 보여주는 것이므로 them을 재귀대명사인 themselves가 되어야 한다.
[변형 문제]
Trends constantly suggest new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restage themselves, (represent) representing occasions for change.
유행은 사람들이 자신을 재조정할 새로운 기회를 끊임없이 제시하고, 변화의 때를 나타낸다.
To understand how trends can ultimately give individuals power and freedom, one must first discuss fashion’s importance as a basis for change.
유행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개인에게 힘과 자유를 줄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화를 위한 기반으로서의 패션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The most common explanation (offer) offered by my informants as to=~에 관한 why fashion is so appealing (be) is that it constitutes a kind of theatrical costumery.
왜 패션이 그렇게 매력적인 지에 대해 나의 정보 제공자들이 한 가장 흔한 설명은 그것이 일종의 연극적인 의상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Clothes are part of how people present [themselves/them] to the world, and fashion locates [themselves/them]=people in the present, relative to=~에 관련해서 what=주격 관계대명사 is happening in society and to fashion’s own history.
옷은 사람들이 자신을 세상에 보여주는 방식의 일부이고, 패션은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그리고 패션 자체의 역사와 관련하여 그들을 현재에 위치시킨다.
As a form of expression, fashion contains a host of ambiguities, enabling individuals to recreate the meanings (associate with) associated with specific pieces of clothing.
표현 형태로서 패션은 다수의 모호함을 담고 있어 개인이 특정한 옷과 연관된 의미를 재창조할 수 있게 한다.
[서술형 대비] Fashion is among the simplest and cheapest methods of self-expression: clothes can be [inexpensive/inexpensively] purchased while making it easy to convey notions of wealth, intellectual stature, relaxation o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ven if none of these is true.
패션은 자기표현의 가장 단순하고 값싼 방법 중 하나로, 옷은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부, 지적 능력, 휴식 또는 환경 의식에 대한 개념을, 비록 이것 중 어느 것도 사실이 아니라 해도, 쉽게 전달할 수 있다.
Fashion can also strengthen agency in various ways, (open up) opening up space for action.
패션은 또한 행동을 위한 공간을 열어주며 다양한 방법으로 행동력을 강화할 수 있다.
*stature: 능력
'모의고사 아카이브 > 2023학년도 수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수능 영어] 31번 문제 분석 및 변형 (1) | 2024.01.28 |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30번 문제 분석 및 변형 (0) | 2024.01.27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4번 문제 분석 및 변형 (1) | 2024.01.25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3번 문제 분석 및 변형 (1) | 2024.01.24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2번 문제 분석 및 변형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