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학년도 수능 21번 문제 분석 및 변형입니다.
21. 밑줄 친 make oneself public to oneself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Coming of ag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ersonal diary became a centerpiece in the construction of a modern subjectivity, at the heart of which is the application of reason and critique to the understanding of world and self, which allowed the creation of a new kind of knowledge. Diaries were central media through which enlightened and free subjects could be constructed. They provided a space where one could write daily about her whereabouts, feelings, and thoughts. Over time and with rereading, disparate entries, events, and happenstances could be rendered into insights and narratives about the self, and allowed for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It is in that context that the idea of “the self [as] both made and explored with words” emerges. Diaries were personal and private; one would write for oneself, or, in Habermas’s formulation, one would make oneself public to oneself. By making the self public in a private sphere, the self also became an object for self-inspection and self-critique.
*disparate: 이질적인 **render: 만들다
① use writing as a means of reflecting on oneself
② build one’s identity by reading others’ diaries
③ exchange feedback in the process of writing
④ create an alternate ego to present to others
⑤ develop topics for writing about selfhood
[주제]
Diary: A Means of Reflecting on Oneself
(일기: 자신을 되돌아보는 수단)
[정답] ①
[해석]
[서술형 대비] Coming of age: 발달한 상태가 되면서=As it came of ag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ersonal diary became a centerpiece=중심물 in the construction of a modern subjectivity, at the heart of [them/which] is the application of reason and critique to the understanding of world and self, which allowed the creation of a new kind of knowledge.
18세기와 19세기에 발달한 상태가 된 개인 일기는 근대적 주체성을 구축하는 데 중심물이 되었는데, 그것의 중심에는 세계와 자아에 대한 이해에 이성과 비판의 적용이 있었고, 이는 새로운 종류의 지식을 창조할 수 있게 해주었다.
Diaries were central media through which (enlighten) enlightened and free subjects could (construct) be constructed.
일기는 그것을 통해 계몽되고 자유로운 주체가 구성될 수 있는 중심 매체였다.
They provided a space [which/where] one could write daily about her whereabouts=행방, feelings, and thoughts.
그것은 개인이 자신의 행방, 감정, 생각에 대해 매일 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Over time and with rereading, disparate entries, events, and happenstances could be rendered into=만들어질 수 있었다 insights and narratives about the self, and allowed for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다시 읽음으로써, 이질적인 항목, 사건 및 우연이 자신에 관한 통찰력과 이야기로 만들어질 수 있었으며, 주체성의 형성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문장 삽입] [강조구문] It is in that context that the idea of “the self [as] (being생략) both made and explored with words” (emerge) emerges.
‘말로 만들어지고 또한 탐구되는 (것으로의) 자아’라는 개념이 나타나는 것은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다.
Diaries were personal and private; one would write for oneself, or, in Habermas’s formulation=표현, one would make oneself public to oneself.
일기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것이었다. 사람들은 자신을 위해 쓰곤 했는데, Habermas의 명확한 표현을 빌리면, 자신을 자신에게 공개적으로 만들곤 했다.
By making the self [publicly/public] in a private sphere, the self also became an object for self-inspection and self-critique.
자아를 사적 영역에서 공적으로 만들면서, 자아는 또한 자기 점검과 자기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사람들은 일기를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고 의식화를 구축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는 내용의 글입니다.
반응형
'모의고사 아카이브 > 2023학년도 수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9번 문제 분석 및 변형 (0) | 2024.01.26 |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4번 문제 분석 및 변형 (1) | 2024.01.25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3번 문제 분석 및 변형 (1) | 2024.01.24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2번 문제 분석 및 변형 (0) | 2024.01.14 |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0번 문제 분석 및 변형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