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아카이브/2024학년도 수능

[2024학년도 수능 영어] 36번 문제 분석 및 변형

반응형

2024년도 수능 36번 문제 분석 및 변형입니다.

협상의 목적과 영역, 역할에 대해 설명하는 글입니다. 

 

협상 negotiation

36번.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Negotiation can be defined as an attempt to explore and reconcile conflicting positions in order to reach an acceptable outcome.

(A) Areas of difference can and do frequently remain, and will perhaps be the subject of future negotiations, or indeed remain irreconcilable. In those instances in which the parties have highly antagonistic or polarised relations, the process is likely to be dominated by the exposition, very often in public, of the areas of conflict.

(B) In these and sometimes other forms of negotiation, negotiation serves functions other than reconciling conflicting interests. These will include delay, publicity, diverting attention or seeking intelligence about the other party and its negotiating position.

(C) Whatever the nature of the outcome, which may actually favour one party more than another, the purpose of negotiation is the identification of areas of common interest and conflict. In this sense,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f the parties, the areas of common interest may be clarified, refined and given negotiated form and substance.

*reconcile: 화해시키다 **antagonistic: 적대적인 ***exposition: 설명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주제]

Negotiation: Identifying Common Interest & Conflicting One

(협상: 공통의 이익과 상충하는 이익을 확인하는 것)

 

 

[해석]

협상은 수용할 수 있는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상충하는 입장을 탐색하고 화해시키려는 시도라고 정의될 수 있다.

(C) 실제로 다른 당사자보다 한쪽 당사자에게 더 유리할 수도 있는, 그 결과의 성격이 무엇이든, 협상의 목적은 공통의 이익과 갈등의 영역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당사자들의 의도에 따라 공통의 이익 영역은 명확해지고, 정제되며, 협의가 이뤄진 형식과 실체가 주어질 수 있다.

(A) 이견이 있는 영역은 남을 수 있고, 실제로 자주 남으며, 아마도 향후 협상의 주제가 되거나 실제로 화해할 수 없는 상태로 남게 될 것이다.

당사자들이 매우 적대적이거나 양극화된 관계를 맺고 있는 그런 경우에, 그 과정은 갈등 영역에 대한 아주 흔히 공개적인 설명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이 있다.

(B) 이러한 형태의 협상과 때로는 다른 형태의 협상에서, 협상은 상충하는 이익을 화해시키는 것이 아닌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것들에는 지연, 홍보, 주의를 돌리거나 상대방과 그쪽의 협상 입장에 관한 정보를 구하는 것이 포함될 것이다.

 

[정답] ④

 

Negotiation can (define) be defined as an attempt to explore and reconcile [conflicted/conflicting] positions in order to reach an acceptable outcome.

협상은 수용할 수 있는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상충하는 입장을 탐색하고 화해시키려는 시도라고 정의될 수 있다.

 

[However/Whatever] the nature of the outcome, [that/which] may actually favour one party more than another, [협상의 목적]  the purpose of negotiation is [빈칸 예상 문제] the identification of areas of common interest and conflict.

실제로 다른 당사자보다 한쪽 당사자에게 더 유리할 수도 있는, 그 결과의 성격이 무엇이든, 협상의 목적은 공통의 이익과 갈등의 영역을 밝히는 것이다.

 

In this sense,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f the parties, the areas of common interest may (clarify) be clarified, refined and given (negotiate) negotiated form and substance.

이러한 의미에서 당사자들의 의도에 따라 공통의 이익 영역은 명확해지고, 정제되며, 협의가 이뤄진 형식과 실체가 주어질 수 있다.

 

Areas of difference can and do frequently remain, and will perhaps be the subject of future negotiations, or indeed remain [reconcilable/irreconcilable].

이견이 있는 영역은 남을 수 있고, 실제로 자주 남으며, 아마도 향후 협상의 주제가 되거나 실제로 화해할 수 없는 상태로 남게 될 것이다.

 

In those instances [which/in which] the parties have highly antagonistic or polarised relations, the process is likely to (dominate) be dominated by the exposition, very often in public, of the areas of conflict.

당사자들이 매우 적대적이거나 양극화된 관계를 맺고 있는 그런 경우에, 그 과정은 갈등 영역에 대한 아주 흔히 공개적인 설명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이 있다.

 

In these and sometimes other forms of negotiation, negotiation serves functions other than=~과 다른 reconciling=동명사 conflicting interests.

이러한 형태의 협상과 때로는 다른 형태의 협상에서, 협상은 상충하는 이익을 화해시키는 것이 아닌 기능을 수행한다.

 

These=상충하는 이익을 화해시키는 것이 아닌 기능들 will include delay, publicity, diverting(동명사:돌리는 것) attention or seeking(동명사:구하는 것) intelligence about the other party and its negotiating position.

이러한 것들에는 지연, 홍보, 주의를 돌리거나 상대방과 그쪽의 협상 입장에 관한 정보를 구하는 것이 포함될 것이다.

 

협상 negotiati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