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교재 아카이브/EBS 수능특강 라이트

[내신 영어] EBS 수능특강 라이트[light] 9강 2번 지문 분석 및 변형

반응형

[내신 영어] EBS 수능특강 라이트[light] 9강 2번 지문 분석 및 변형입니다. ^^

 

9강 2번.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Dramatic play provides a risk-free stagewhere children can explore and experiment with ideas, test and evaluate their skills, and add to and change the environment in their own ways.

In role-play, children act as if they are someone else, imagining and weighing possibilities.

This helps them analyze situ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Pretending to be someone else, with all the gestures, actions, and language that involves, gives children practice thinking divergently as they consider different things they can pretend to do.

After they have decided what and how to play, their attention shifts to staging the play they have planned.

Their thinking becomes more convergent.

Creativity and innovation rely heavily on divergent thinking, but to accomplish goals, convergent thinking is also necessary.

It’s no wonder that research shows that young children who spend a good deal of time role-playinghas high scores on measures of creativity.

* divergent: 발산하는, 갈라지는 ** convergent: 수렴하는, 한 점에 모이는

 

[주제]

연극 놀이를 통한 아이들의 사고력 향상

 

 

[해석]

연극 놀이는 아이들이 생각을 탐색해 보고 실험해 보며, 자신의 기술을 시험해 보고 평가하면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환경을 늘리고 변화시킬 수 있는 위험이 없는 무대를 제공해 준다.

역할극에서 아이 들은 가능성을 상상해보고 저울질하며 다른 사람인 것처럼 행동한다.

이것은 그들이 다른 관점에서 상황을 분석하도록 도와준다.

다른 사람인 척하는 것은 그에 수반하는 모든 몸짓과 행동, 말과 더불어 아이들이 하는 척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을 고려할 때 발산적으로 사고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아이들이 무엇을 어떻게 놀지 결정하고 나면, 그들의 관심은 그들이 계획한 놀이를 무대에 올리는 데로 옮겨 간다.

그들의 사고는 더 수렴적이 된다. 창의성과 혁신은 발산적 사고에 크게 의존하지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렴적 사고 역시 필요하다.

역할극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 어린 아이들이 창의성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것을 연구가 보여 주는 것은 당연하다.

 

[정답]

 

Dramatic play provides a risk-free stage [which/where] children can explore and experiment with ideas, test and evaluate their skills, and (add) add to and change the environment in their own ways.

연극 놀이는 아이들이 생각을 탐색해 보고 실험해 보며, 자신의 기술을 시험해 보고 평가하면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환경을 늘리고 변화시킬 수 있는 위험이 없는 무대를 제공해 준다.

 

In role-play, children act as if they are someone else, (imagine) imagining and weighing possibilities.

역할극에서 아이 들은 가능성을 상상해보고 저울질하며 다른 사람인 것처럼 행동한다.

 

This helps them [to analyze/analyze] situ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이것은 그들이 다른 관점에서 상황을 분석하도록 도와준다.

 

 

(Pretend) Pretending to be someone else, with all the gestures, actions, and language that involves, [give/gives] children practice thinking divergently as they consider different things they can pretend to do.

다른 사람인 척하는 것은 그에 수반하는 모든 몸짓과 행동, 말과 더불어 아이들이 하는 척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을 고려할 때 발산적으로 사고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After they (decide) have decided what and how to play, their attention shifts to (stage) staging the play they (plan) have planned.

아이들이 무엇을 어떻게 놀지 결정하고 나면, 그들의 관심은 그들이 계획한 놀이를 무대에 올리는 데로 옮겨 간다.

 

Their thinking becomes more [divergent/convergent]. 그들의 사고는 더 수렴적이 된다.

 

Creativity and innovation rely heavily on divergent thinking, but to accomplish goals, convergent thinking is also necessary. 

 창의성과 혁신은 발산적 사고에 크게 의존하지 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렴적 사고 역시 필요하다.

 

It’s no wonder that research shows that young children who spend a good deal of time role-playing has->have high scores on measures of creativity.

역할극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 어린 아이들이 창의성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것을 연구가 보여 주는 것은 당연하다.

* divergent: 발산하는, 갈라지는 ** convergent: 수렴하는, 한 점에 모이는

 

 

[단어]

risk-free 위험이 없는, 안전한 

explore 탐색하다, 탐험하다 

evaluate 평가하다 

weigh 저울질하다 

perspective 관점, 시각 

pretend ~인 척하다

shift 옮기다, 이동하다 

stage 무대에 올리다, 개최하다 

a good deal of 많은, 다량의 

measure 척도,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