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에 시행되었던 고3 영어 모의고사 중 순서배열 문제를 모아보았습니다.
주제까지 정리해 놓았으니 도움이 많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1.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2년 3월 고3 36번]
Anger and empathy—like matter and antimatter—can’t exist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Let one in, and you have to let the other one go. So when you shift a blamer into empathy, you stop the person’s angry ranting dead in its tracks.
(A) The relief from no longer feeling “fear or hatred” toward the blamer spontaneously triggers a tremendous rush of gratitude and—miraculously—the person’s quiet rage turns into forgiveness and, beyond that, a willingness to work toward solutions.
(B) Suddenly and unexpectedly, however, the blamer knows just how sad, angry, scared, or lonely the defender feels and spontaneously turns into an ally. When the defender feels understood by the blamer and that they are on the same side, there’s nothing to defend against. The defender’s wall, and with it his unspoken rage and frustration, disappears.
(C) And what about the person who’s on the defensive? Initially, this human punching bag is frustrated because no matter what he or she is trying to mirror outward the ignorant blamer is blind to it. As a result, the person who’s under attack is usually in a state of quiet, barely controlled rage.
*rant: 폭언하다 **spontaneously: 자연스럽게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주제]
감정적인 상황에서 비난과 방어의 상호작용
두 가지 감정, 즉 분노와 공감은 동시에 존재할 수 없으며, 한 감정을 느끼는 동안 다른 감정은 억눌리거나 뒤로 밀려난다는 내용입니다.
<p
[정답] ⑤
[해석]
분노와 공감은 물질과 반물질처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존재할 수 없다. 하나를 들여보내면 다른 하나는 내보내야 한다. 따라서 비난자를 공감 속으로 이동시킬 때, 여러분은 그 사람의 분노에 찬 폭언을 즉시 멈추게 한다.
(C) 그렇다면 방어하는 쪽에 있는 사람은 어떤가? 처음에 이 인간 펀칭백은 자신이 그 무엇을 밖으로 잘 보여 주려 애써도 그 무지한 비난자가 그것을 보지 못하므로 좌절한다. 그 결과 공격당하는 사람은 대체로 조용한, 간신히 통제되고 있는 분노 상태에 있게 된다.
(B) 그러나 갑자기 뜻밖에도 그 비난자는 방어자가 정말 얼마나 슬픈지, 얼마나 화가 나 있는지, 얼마나 겁먹었는지, 또는 얼마나 외로운지를 알게 되고, 자연스럽게 동맹자로 바뀐다. 방어자가 자신이 비난자에 의해 이해받고 있으며 서로가 같은 편이라고 느낄 때, 방어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방어자의 벽이, 그리고 그 벽과 함께 입 밖에 내지 못한 그의 분노와 좌절이 사라진다.
(A) 비난자에 대해 더는 ‘두려움이나 증오’를 느끼지 않게 됨으로써 오는 안도감으로 인해 엄청난 고마움이 물밀듯이 자연스럽게 밀려오고, 기적적으로 그 사람의 조용한 분노는 용서로 그리고 그것을 넘어 해결을 향해 기꺼이 일하고자 하는 의지로 바뀐다.
empathy 공감 matter 물질 in one’s tracks 즉시 relief 안도(감) hatred 증오 trigger 촉발하다 tremendous 엄청난 rush 북받침, 쇄도 gratitude 고마움, 감사 miraculously 기적적으로 rage 분노 unexpectedly 뜻밖에 scared 겁먹은 ally 동맹(자) frustration 좌절 initially 처음에 mirror (거울처럼) 잘 보여 주다, 반영하다 ignorant 무지한 barely 간신히, 가까스로
2.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2년 3월 고3 37번]
When a young child sees clouds moving across the sky, the clouds may seem alive and independent, perhaps dangerous. But if one sees clouds as fleecy lambs, a metaphorical chain begins to neutralize the fear.
(A) “Cloud movement” becomes differentiated from the kind of movement that makes things alive, because the clouds move only if they are “pushed” by the wind, and what can’t move without a push from the outside is not alive.
(B) The cloud may still be thought of as alive, but it is no longer terrifying. Repression and neutralization through metaphor are possible strategies, but there is another. Faced with the moving clouds, the child can theorize about their movement in such a way that the clouds cease to be alive.
(C) Children develop theoretical constructs that separate the motion of clouds from the motion of people and animals so that eventually the fear of living clouds disappears. If things seem uncomfortably on the border between the alive and the not‑alive, use logic to redefine the boundaries so that things fall more comfortably into place. If it scares you, make a theory.
*fleecy: 털이 많은 **repression: 억제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주제]
어린이가 두려움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방법
어린이가 구름을 보고 처음에는 살아 있는 독립적인 것으로 느낄 수 있지만, 은유를 통해 두려움을 중화하거나 논리적으로 해석하여 극복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정답] ②
[해석]
어린아이가 구름이 하늘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보게 될 때, 구름은 살아 있는, 독립적인, 어쩌면 위험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구름을 털이 많은 어린 양으로 본다면, 은유의 사슬이 두려움을 중화하기 시작한다.
(B) 그 구름이 여전히 살아 있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그것이 더는 무섭지 않다. 은유를 통한 억제와 중화도 가능한 전략이지만, 또 한 가지 전략이 있다. 움직이는 구름을 마주쳤을 때, 아이는 구름이 살아 있지 않다는 식으로 구름의 움직임에 대해 이론화할 수 있다.
(A) ‘구름의 움직임’은 어떤 것들을 살아 있게끔 해 주는 그런 종류의 움직임과는 차별화되는데, 왜냐하면 구름은 바람에 의해 ‘밀려’야만 움직이고, 외부에서 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는 것은 살아 있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C) 아이들은 구름의 움직임과 사람 및 동물의 움직임을 구분하는 이론적인 생각을 전개하고, 결국 살아 있는 구름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진다. 어떤 것들이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 사이의 경계에 불편하게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 논리를 이용해 그 경계선을 재정립하여 그것들이 더 편안하게 제 자리를 잡게 하라. 그것이 여러분을 무섭게 한다면, 이론을 세워 보라.
lamb 어린 양 metaphorical 은유적인 neutralize 중화하다 differentiate 차별화하다 terrifying 무서운 metaphor 은유 strategy 전략 theorize 이론화하다 construct 생각, 구성 개념 separate 구분하다, 구별하다 eventually 결국 border 경계 logic 논리 redefine 재정립하다 boundary 경계선 comfortably 편안하게 scare 무섭게 하다
3.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2년 4월 고3 36번]
What are some characteristics of cities that must be maintained even if the population decreases? If this question can be answered, a new city model can be proposed based on the concept. Here, we focus on productivity and diversity as characteristics of cities.
(A) Given that gold mining cities and coal mining cities have risen and fallen, their vulnerability is obvious. A city where various people gather in various industries is secure against social changes. The same is true in the natural world, and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species.
(B) This is because ensuring productivity and diversity is the driving force for sustainability. For example, if there is a place to work, people gather and work there, and the population gradually accumulates to form a city. However, the industrial structure that depends on a single industry is vulnerable to social changes.
(C) The same is true in cities. In a society where people of all ages and income levels live together, and diverse industries coexist while depending on each other, cities will continue to exist overcoming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population decline.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주제]
도시의 특징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려
도시의 생산적인 특성과 다양성이 도시가 변화에 더욱 강건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답] ②
[해석]
비록 인구가 줄어들더라도 반드시 유지되어야만 하는 도시의 몇 가지 특징들은 무엇인가? 만약 이 질문이 대답될 수 있다면 그 개념에 기반하여 새로운 도시 모델이 제안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도시의 특징들로 생산성과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다.
(B) 이는 생산성과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이 지속 가능성을 위한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약 일할 장소가 있다면, 사람들은 그곳에 모여 일을 하며 인구는 점차 축적되어 도시를 형성한다. 그러나 단일 산업에 의존하는 산업 구조는 사회적 변화에 취약하다.
(A) 금광 도시들과 탄광 도시들이 흥망성쇠 해 왔던 것을 고려하면 그것들의 취약성은 분명하다. 다양한 산업에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도시는 사회적 변화에 안정적이다. 자연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은 종의 지속 가능성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C) 도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연령대와 소득 수준의 사람들이 함께 살고, 다양한 산업들이 서로 의존하면서 공존하는 사회에서 도시들은 인구 감소와 같은 환경적 변화를 극복하면서 계속 존재할 것이다.
4.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2년 4월 고3 37번]
Both ancient farmers and foragers suffered seasonal food shortages. During these periods children and adults alike would go to bed hungry some days and everyone would lose fat and muscle.
(A) Typically, in complex ecosystems when weather one year proves unsuitable for one set of plant species, it almost inevitably suits others. But in farming societies when harvests fail as a result of, for example, a sustained drought, then catastrophe emerges.
(B) This is firstly because foragers tended to live well within the natural limits imposed by their environments, and secondly because where farmers typically relied on one or two staple crops, foragers in even the harshest environments relied on dozens of different food sources and so were usually able to adjust their diets to align with an ecosystem’s own dynamic responses to changing conditions.
(C) But over longer periods of time farming societies were far more likely to suffer severe, existentially threatening famines than foragers. Foraging may be much less productive and generate far lower energy yields than farming but it is also much less risky.
*forager: 수렵 채집인 **catastrophe: 참사 ***staple: 주요한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주제]
고대 농부와 수렵 채집인의 생존과 기근에 대한 비교
농업과 수렵 채집이라는 두 가지 다른 생존 전략에 대한 장단점을 다루면서, 특히 농경 사회에서의 기근이 더 심각하고 위협적일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정답] ⑤
[해석]
고대 농부와 수렵 채집인 모두 계절에 따른 식량 부족을 겪었다. 이 기간 동안 어린이와 어른 모두 어떤 날에는 배가 고픈 채 잠자리에 들었을 것이며 모두가 지방과 근육을 잃었을 것이다.
(C) 그러나 더 오랜 기간 동안 농경 사회는 수렵 채집인보다 심각하고, 존재적으로 위협적인 기근에 시달릴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다. 수렵 채집이 농업보다 훨씬 덜 생산적이고 훨씬 더 낮은 에너지 생산량을 발생시킬지 모르지만 그것은 또한 훨씬 덜 위험하다.
(B) 이는 첫째, 수렵 채집인이 자신들의 환경에 의해 부과된 자연적 한계 내에서 잘 사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고, 둘째, 농부는 보통 한두 가지 주요한 작물에 의존했던 데 반하여 심지어 가장 가혹한 환경에 있는 수렵 채집인은 수십 가지의 다른 식량원에 의존했고, 그래서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생태계 자체의 역동적인 반응에 맞추기 위해 보통 자신들의 식단을 조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A) 일반적으로 복잡한 생태계에서 한 해 날씨가 한 집단의 식물종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명될 때, 그것은 거의 필연적으로 다른 것들에게 적합하다. 그러나 농업 사회에서 예를 들어 지속적인 가뭄의 결과로 수확이 실패할 때, 그러면 참사가 일어난다.
'모의고사 아카이브 > 유형별 연습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고3 수능 영어] 36번, 37번 순서배열 문제 및 해설 (0) | 2024.01.17 |
---|---|
[22년 고3 10월 영어 모의고사] 36번, 37번 순서배열 문제 및 해설 (0) | 2024.01.17 |
[22년 고3 9월 영어 모의고사] 36번, 37번 순서배열 문제 및 해설 (0) | 2024.01.16 |
[22년 고3 7월 영어 모의고사] 36번, 37번 순서배열 문제 및 해설 (0) | 2024.01.15 |
[22년 고3 6월 영어 모의고사] 36번, 37번 순서배열 문제 및 해설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