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10강 3번, 4번 문제 해석 및 정답입니다.
목차
1. 10강 3번 문제
2. 10강 4번 문제
1. 10강 3번 문제
10강 3번 요약문 완성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Determining the probability that a particular event will occur in a particular location within a particular time span is an essential goal of hazard evaluation. For many large rivers we have sufficient records of flow to develop probability models that can reasonably predict the average number of floods of a given magnitude that will occur in a given time period Likewise, droughts may be assigned a probability on the basis of past occurrence of rainfall in the region. However, these probabilities are similar to the chances of throwing a particular number on a die or drawing an inside straight in poker; the element of chance is always present. For example, the 10-year flood may occur on the average of every 10 years, but it is possible for several floods of this magnitude to occur in any one year, just as it is possible to throw two straight sixes with a die. * magnitude: 규모** die: 주사위 *** InSide straight: 인사이드 스트레이트(4장의 숫자가 있을 때 5개의 연속된 숫자를 만들기 위해 특정 카드 한 장이 필요한 )
Hazard evaluation involves estimating the (A) of events like floods or droughts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based on records, while always carrying an element of (B) with it.
① likelihood - randomness ② likelihood - locality ③ intensity - locality
④ duration - randomness ⑤ duration - standardization
[영어 문법] 관계대명사 what과 that의 차이점 그리고 의문사 what 구별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대명사 what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what의 정확한 의미, 사용법, 예문을 통해 영어 문법을 깊이 있게 이해해 보세요. 1. 관계대명사 what이란?관계대명
englishforest07.tistory.com
[주제] 홍수와 가뭄 예측
[해석]
특정 사건이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특정 위치에서 발생할 확률을 알아내는 것은 재해 평가의 필수적인 목표이다. 많은 큰 강의 경우, 우리는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할 특정 규모의 평균 홍수 횟수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확률 모델을 개발하기에 충분 한 범람 기록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가뭄도 그 지역의 과거 강우 발생에 기반하여 확률이 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률은 주사위를 던져 특정 숫자가 나올 확률이나 포커에서 인사이드 스트레이트 패를 완성할 확률과 유사한데, 항상 우연의 요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10년 주기 홍수는 평균적으로 10년마다 발생할 수도 있지만, 주사위를 던져 6이 두 번 연속으로 나올 수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어떤 한 해에 이 정도 규모의 홍수가 여러 번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 재해 평가에는 기록을 기반으로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홍수나 가뭄과 같은 사건의 가능성을 추정하는 것이 포함되는데, 항상 자체 에 무작위성의 요소를 지닌다.
재해 평가는 과거의 기록을 기반으로 특정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알아내는 것인데, 이 확률은 주사위를 던지거나 포커를 할 때 특정 숫자가 나올 확률과 유사하여 우연이라는 요소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10년 주기로 홍수가 일어난 과거 기록이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그 정도 규모의 홍수가 한 해에 여러 번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요약문의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능성(ikelihood) - 무작위성 (randomness)이다.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10강 1번, 2번 문제 해석 및 정답 확인하기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10강 1번, 2번 문제 해석 및 정답입니다. 목차 1. 10강 1번 문제2. 10강 2번 문제 1. 10강 1번 Exercise 1번 어휘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
englishforest07.tistory.com
2. 10강 4번 문제
10강 4번 어휘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문맥에 맞는 낱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mong the first studies to suggest the (A) [use / avoidance] of specifically a visual in contrast to verbal or phonologically based temporary memory for verbal stimuli were those conducted by psychologist Posner and his colleagues, who developed a visual letter-matching task in which pairs of letters were shown in their upper case (e.g., AB) or lower case (e.g., aa) versions or a mixture of both (e.g., Bb). The subjects' task was to respond on the basis of whether the letters in the pair had the same name (e.g., Aa) or had different names (e.g., Ab). When the letters were both in the same letter case and were physically identical (e.g., AA), subjects responded much more (B) [quickly / slowly] than if the upper and lower case versions were different. The advantage for physically identical letters remained when letters in each pair were shown one after another with interletter delays of up to 2 seconds. This suggested that subjects were (C) [passing / relying] on the visual code for the letters during the delay, after which a name code was being used for the decision.
* phonologically: 음운론
[ebsi 고등] EBS 2026 수능개념 영어 수강하러가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6학년도 수능대비를 위한 EBS 책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2026 수능개념 책소개수능 개념 부터 탄탄하게, 문제 풀이까지 완벽하게!〈수능개념〉은 EBS 대표 연계
englishforest07.tistory.com
[주제] 시각적 코드에 의존한 기억
이 글의 주제는 Posner와 동료들이 수행한 시각적 글자 조합 실험을 통해 인간의 기억이 음운론적 기억과 구별되는 시각적 기억을 사용한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에 관한 것입니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형태가 동일한 글자쌍(AA, aa)에 대해 더 빠르게 반응했으며, 이는 단기간 동안 시각적 코드에 의존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이름 코드로 전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해석]
언어적인 자극에 대해, 말에 의한, 즉 음운론에 기반한 일시적인 기억과 대조하여 명백히 시각적인 기억의 사용을 시사한 최초의 연구 중에는 심리학자 Posner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수행된 연구가 있는데, 이들은 쌍을 이룬 글자가 대문자(예를 들어 AB) 또는 소문자(예를 들어 aa) 버전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된 버전(예를 들어 Bb)으로 제시되는 시각적 글자 조합 과제를 개발했다. 피험자들의 과제는 쌍에 있는 글자가 같은 이름(예를 들어 Aa)인지 다른 이름(예를 들어 Ab)인지에 기반하여 응답하는 것이었다. 글자들의 대소문자 여부가 같고 형태가 동일한 경우(예를 들어 AA), 피험자들은 대문자와 소문자 버전이 다른 경우보다 훨씬 더 빠르게 응답했다. 형태가 동일한 글자에 대한 이점은 각 쌍에 있는 글자가 최대 2초의 글자 간 지연을 두고 차례로 제시될 때도 유지되었다. 이는 피험자들이 지연 시간 동안은 글자에 대해 시각적 코드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그 후에는 이름 코드가 판단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음을 시사했다.
(A) 실험 내용상 사람들이 시각적 글자 조합 과제에서 글자 형태 에 의존했다는 면에서 시각을 기반으로 한 일시적 기억을 사용했음을 시사하는 연구임을 알 수 있으므로, use(사용)를 써야 한다.
avoidance는 '회피'라는 뜻이다.
(B) 제시된 쌍의 글자가 같은 이름인지 다른 이름인지에 기반하여 응답하는 과제에서 형태가 동일한 글자에 대해 이점이 있었다고 했고, 따라서 대소문자 여부가 같고 형태가 동일한 경우 훨씬 더 빠르게 응답했을 것이므로, quickly(빠르게)를 써야 한다. slowly는 '느리게'라는 뜻이다
(C) 각 쌍의 글자가 지연을 두고 차례로 제시될 때에도 형태가 동일한 글자에 대한 이점이 유지되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그 시간 동안에는 피험자들이 시각적 코드에 의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relying(의존하는)을 써야 한다. pass는 '지나치다, 전달하다'라는 뜻이다.
'부교재 아카이브 >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10강 1번, 2번 문제 해석 및 정답 확인하기 (0) | 2025.07.03 |
---|